[한은 '올 성장 8.8% 전망'] (일문일답) 전철환 <한은 총재>

전철환 한국은행 총재는 7일 금융통화위원회를 마친후 "10월중 통화정책방향은 금융시장의 안정에 중점을 두고 운영하며 콜금리는 현재의 수준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그는 "물가상승 우려가 확산되고 있으나 대우사태에 따른 금융시장의 불안을 해소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긴축가능성"으로 보도된 그의 워싱턴 발언을 의식해서인지 "예단하긴 곤란하다"는 말을 자주 썼다. -내년 소비자물가를 3.8%로 전망했는데 인플레가 나타나는게 아닌가. "연간 3~5% 정도의 물가상승은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이다. 물가상승이 이 정도에 그치도록 정책적인 노력을 기울이는게 중요하다. 그러나 인플레가 현재화될 가능성을 예단할 순 없다" -본원통화 증가율은 높아지고 통화유통속도는 빨라지고 있지 않은가. "투신사 수익증권의 환매자금이 은행 요구불 예금 등으로 이동하면서 지준수요가 늘어난데 따른 것이다. 자금수요가 늘어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원통화 증가가 곧 총수요 증가로 이어지는건 아니다. 경제가 개방됐고 생산성이 높아지는등 인플레를 억제하는 요인도 있다" -장기금리 목표가 있는가. "대우사태이후 장기금리에 2%포인트 정도의 기간리스크가 생긴 것으로 한은은 파악하고 있다. 금융불안이 해소되면 기간리스크도 없어질 전망이다. 기간리스크가 없어지면 7%대도 가능하다고 본다" -실물경제상황을 감안할 때 정부가 인위적으로 금리를 억누르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 "경제성장률의 내용을 따져볼 필요가 있다. 8.8%는 97년과 비교하면 2.5% 성장하는 것이다. 대우사태가 마무리되면 금리가 오를 것인지는 상황전개에 따라 다르다. 예단하긴 곤란하다" -재정적자 축소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는데. "통화도 많이 풀렸고 재정지출도 많았다. 재정에서 긴축해줘야 균형이 맞는다. 그래야만 총수요를 억제할 수 있다. 정부에서 적자를 줄여 주면 통화정책의 자율성도 높아진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0월 8일자 ).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