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대우 대규모 승진인사] 현대 : 삼성 출신 '대표 발탁'

현대의 이번 인사에서는 남북경협팀과 구조조정본부의 약진외에 계열사별로도 주목되는 인사가 많았다. 고졸출신이 상무로 올라갔는가 하면 과거 삼성에서 경력을 쌓은 임원이 대표로 발탁되기도 했다. .현대정보기술의 대표로 선임된 표삼수(46) 부사장은 전무승진 1년만에 부사장에 오른 초고속 승진 케이스. 더군다나 그는 삼성에서 이력을 쌓은 인물이다. 현대 전체 계열사의 전산시스템을 통합관리하는 정보서비스센터(ISC) 센터장을 맡고 있는 표 대표는 서울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전기전자공학)과 미국 카네기멜론대 대학원(컴퓨터공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한 컴퓨터전문가. 90년 삼성종합기술원 연구위원 이사로 국내에 들어와 근무를 시작한뒤 삼성전자 컴퓨터연구소 및 컴퓨터시스템 연구원 등을 지냈다. 지난 95년 현대전자 정보시스템사업본부장 상무로 선임된 표 대표는 만년 2위였던 현대전자의 신국산 주전산기 사업을 국내 1위로 끌어올렸고 체신금융 프로젝트 등 수많은 시스템 통합사업을 수주하는 능력을 보였다. .현대전자는 "반도체 빅딜" 과정에서 실력을 인정받은 부장급 2명을 조기임원 승진시켜 눈길을 끌었다. 황순영 반도체 경영지원실 부장과 기중식 메모리 개발 연구소 부장 등이 발탁 승진 케이스다. 황 부장등은 이번 빅딜 협상에 깊이 관계돼 현대가 경영주체로 선정되는데 큰 공을 세웠다는 것이 현대전자측의 설명이다. 그러나 LG반도체와의 협상이 아직 진행중에 있는 만큼 상무급 이상 수뇌부의 인사는 내년 1월로 연기했다. .현대정공의 경우 김기철 이사가 공고출신으로 상무에 올라 화제. 김 상무는 이리공고를 졸업한 뒤 77년 현대정공에 입사한 이래 22년간 컨테이너만을 생산해온 컨테이너 전문가. 지난 95년에는 이 회사의 중국 현지법인인 광동현대에 생산 담당 대표를 맡아 4천5백만달러에 불과했던 연 매출액을 3년만에 1억달러로 끌어올리는 경영 수완을 발휘했다. 또 입사이래 수출유공사원상을 5번이나 받는등 회사발전에 크게 기여했다는설명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2월 31일자 ).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