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면톱] "일자리 창출에 재정집중"..김대통령 본지 특별회견

김대중대통령은 10일 "실적이 미흡한 실업대책은 축소 조정하겠다"며 "일자리를 보다 많이 만들 수 있는 대책에 재원이 돌아가도록 할 계획"이라고말했다. 김 대통령은 한국경제신문 창간 34주년을 맞아 이날 청와대에서 류화선편집국장과 특별회견을 갖고 기존의 실업대책 중 "일을 거의 하지 않고도 돈을 받아가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한 뒤 "이제부터는 제대로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통령은 또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선 이제 3차산업에 눈을 돌려야 한다"며 "3차산업중에서도 특히 관광산업과 영상산업이 유망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섬유 신발 등 노동집약적 산업이든 기간산업이든 가릴 것 없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면 육성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통령은 경기대책과 관련해 "경기상황을 예의 주시하면서 그때 그때 필요한 경기 진작책을 펴 나갈 방침"이라며 "각종 규제를 없애 기업이 자유롭게 경영활동을 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세계경제의 불안이 가시지 않고 있는 점에 대해서는 "외환보유고 등을 감안할 때 제2의 외환위기는 오지 않을 것"이라면서 "외국인투자 업종을 추가 개방하고 조세감면 대상범위를 확대하는 등 외국인투자유치 노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통령은 "돈 남는 사업이라면 전문경영인이 경영하든, 오너가 경영하든 상관할 바가 아니다"며 소유와 경영의 분리를 인위적으로 추진할 뜻이없음을 분명히 했다. 이어 "다만 오너가 경영에 간섭했으면 법적인 책임도 지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대통령은 기업들의 설비 매각에 대한 우려와 관련, "지금 국내산업에 중복투자된 과잉설비가 많아 솎아낼 필요가 있다"며 기업구조조정의 고삐를늦추지 않겠다는 단호한 의지를 내비쳤다. 취임 이후 어려웠던 점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해 김 대통령은 "단기간 내에 개혁을 추진하는데 따른 어려움과 함께 개혁에 대한 의도적인 반발과저항"이라고 답했다. 또 "과거의 잘못된 정치 경제 사회 구조속에서 혜택을 누려온 사람들이 개혁의 필요성과 목표를 오도하고 개혁의 장애가 되는 일이 적지 않다"고 비판했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12일자 ).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