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해운업계, 세일 앤드 차터백 확산

국내 해운업계에 중고 자동차운반선을 외국업체에 매각한뒤 다시 용선해서 쓰는 "세일 앤드 차터백(sale & charter-back)"이 확산되고있다. 엔저로 일본의 자동차수출이 크게 증가,자동차운반선 수요가 늘어 배값이 올라가자 해운업체들이 용선을 조건으로 중고 자동차운반선을 잇달아 매각하고 있는 것.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범양상선은 6천2백대의 자동차를 실을 수잇는 운반선 두척을 6천6백만달러에 노르웨이 HUAL사(Hoegh-Ugland Auto Liners)에 최근 매각했다. 범양이 매각후 5년간 임대해 운항한다는 조건이다. 범양이 매각한 자동차운반선은 지난 88년 신조된 배로 당시 가격은 척당 2천7백만달러였다. 범양은 일본 자동차업체들의 수요증가로 자동차운반선의 가격이 크게 올라 10년된 배를 건조 당시보다 6백만달러나 더 받고 팔았다고 설명했다. 현대상선도 자동차 4천8백대를 실을 수 있는 자동차운반선 세 척을 매각키로하고 현재 미국 투자가들과 마무리 협상을 벌이고 있다. 매각후 10년간 승무원없이 배만 빌리는 조건이다. 매각가격은 척당 2천4백50만 달러,총 7천3백50만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배는 87년에 신조된 것으로 당시 가격은 2천8백만달러였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값이 좋을 때 배를 매각함으로써 구조조정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되 수송물량을 그대로 유지키위해 각업체마다 세일 앤드 차터백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엔화약세에 따른 일본 자동차업체들의 수출증가와 그에따른 수송물량의 확대로 자동차운반선의 가격이 최근 2-3년간 크게 올라 배를 매각하기는 지금이 적기"라고 덧붙였다. 이같은 형태의 중고선 매각은 자동차운반선 뿐만이아니다. 한진해운은 작년말과 올해 컨테이너선을 재용선을 조건으로 매각했다. 채자영 기자 jychai@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6월 11일자 ).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