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산시민아파트 공원화계획 사업추진 차질

서울시의 낙산시민아파트 공원화계획이 관련부서간 책임떠넘기기로 사업추진에 차질을 빚고있다. 지난 8월 서울시가 발표한 낙산시민아파트 공원화사업은 환경관리실과 주택국이 서로 시민아파트 입주자의 이주대책을 상대방에게 미루는 바람에 현재 중단된 상태. 이는 공원화 계획에 포함된 낙산.동숭시민아파트23개동 1천5백여가구 주민들의 민원을 의식해 해당부서들이 몸을 사린데 따른 것. 주택국측은 공원조성계획이 확정된 만큼 환경관리실이 책임져야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환경관리실은 이주대책은 주택국 소관이라고 반박하며 서로 감정싸움까지 벌이고 있다. 주택국관계자는 "입주자들에 대한 이주보상금은 시기준으로 2천만원대에 불과해 주민들의 요구액 4천만원과 큰 차이가 있다"며 "생색은 환경관리실이내고 민원은 우리가 뒤집어 쓸 형편"이라며 불만을 표시했다. 반면 환경관리실측은 "아직 이들 아파트부지가 공원용지로 지정조차 안됐다"며 "올해 낙산근린공원조성사업에 배정된 1백억원의 예산을 이주비로 쓸수있기 위해서는 대상 아파트범위를 주택국에서 먼저 확정해야한다"고 반박하고 있다. 한편 낙산.동숭시민아파트 입주자들은 종로구에 재개발구역지정과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지정을 신청했으나 시의 공원화방침에 따라 모두 보류된 상태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월 8일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