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면톱] "고용/물가/주거비 '3불안' 막아야 한다"..설문조사

경제전문가들은 저성장고물가로 요약되는 올해 고용불안 물가불안 주거비불안이라는 "3불안"이 큰 문제가 될 것이라고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예따라 정부는 획기적인 규제완화를 통해 경제의 활력을 회복시키는 한편으로 물가안정과 경기급냉방지에 역량을 집중해야할 것으로 지적됐다. 이같은 분석은 한국경제신문사와 현대경제사회연구원이 대학교수 연구원 공무원 기업인 등 경제전문가 1백명을 대상으로 공동실시한 설문조사결과에서 나타난 것이다. 전문가들은 올해 경제성장률이 작년보다 크게 둔화돼 6.0% 내외로 곤두박질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경기저점도 당초 예산보다 늦어져 "3.4분기"(37%)나 "4.4분기"(33%)에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해 상반기중에는 극심한 침체를 겪어야할 것으로 내다봤다. 경상수지적자는 지난해보다 소폭 줄어드는데 그쳐 1백99억달러(예측 평균치)에 달할 것으로 예상, "적자절반축소"는 불가능한 목표라고 지적했다. 또 올해 물가상승율은 "5%를 넘을 수도 있다"는 견해가 47%나 됐으며 실업률은 2.5%내외까지 올라간다는게 다수였다. 여기에다 부동산값이 오르고(88%) 노사분규는 증가하며(51%) 기업자금사정은 악화된다(37%)고 전망했다. 이에따라 올해 "고용불안"(52%) "물가불안"(33%) "주거비불안"(14%)의 순으로 국민생활안정을 위협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경제전문가들은 이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정부가 주력해야 할 일로 "국제수지적자 개선"(26%)과 "규제완화" "물가안정"(각각 22%) "경기연착륙노력"(18%) 등을 지목했다. 이와함께 작년에 추진했던 기업경영환경개선노력이 대부분 불발에 그친점을 감안, 금리인하 물류비절감 임금안정 등을 위한 대안을 마련해야한다고 촉구했다. 이밖에 올해 치러야 하는 대통령선거가 경제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월 1일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