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기관 무료주차장, 얌체주차 "골머리"..며칠씩 재우기도

"얌체주차를 퇴치하라" 주차요금을 받지않고 있는 서울시내 일부 대형기관.업체들이 얌체주차 차량들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업무와는 무관한 외래객들이 온종일, 심지어 며칠씩 주차장에 차를 재워두는 바람에 가뜩이나 심각한 주차난을 가중시키고 있는데다 이들 차량때문에 "진짜" 업무차량들이 옴쭉달싹 못한채 갇혀있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주차문제 전문회사인 (주)합준기 주차개발이 여의도 한국방송공사(KBS) 본관 및 별관, 논현동 주택개발공사, 화곡동 88체육관, 가락동 농수산물시장,대치동 은마A상가를 대상으로 주차실태를 조사한 결과 5대중 1대꼴로 얌체차들이 주차장을 점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얌체주차족들은 대부분 이들 기관.업체부근에 근무하거나 용무가 있어 방문한 사람들로 무시로 차를 대고는 일을 보러 간다는것. 얌체주차 점유비율을 보면 주택개발공사가 30%로 가장 많고 은마상가 24%KBS 17% 88체육관 15% 가락 농수산물시장 11%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중 얌체주차의 압권은 88체육관의 경우로 주차료가 비싼 김포공항 주차장을 피해 이곳에다 차를 세워두고는 4~5일씩 국내.외 나들이를 한다고. 가락동 농수산물시장의 경우 오전 9시부터 오후 7시까지는 유료로 운영하고있으나 오후 7시이후엔 직원들이 퇴근하면서 주차장 게이트를 열어놓기 때문에 아침일찍 또는 낮에 차를 댔다가 주차장직원 퇴근후 유유히 차를 빼내가는 사례가 허다한 실정. 가락시장 주차장은 이달들어 요금징수시간을 오전 6시부터 오후 10시30분까지로 바꾸면서부터 얌체주차족들의 방문행렬이 크게 줄었다고 한다. 이들 기관.업체관계자들은 얌체주차족을 가려내기 위해 종종 방문목적을 캐묻고는 하지만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고 설혹 적발하더라도 "바빠서 그랬는데 정말 죄송하다"라는 말앞에는 어쩔수없이 봐줄수 밖에 없지않느냐고 고충을 털어놓고있다. 그러나 서울시내에서 몇 안되는 이들 무료주차장의 "주차인심"도 조만간 자취를 감추게될 전망이다. 자동주차권발권기 차단기 요금정산기등을 갖춘 주차장 유료화작업을 서두르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7월 22일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