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곡물/원유가 금년말까지 오르면 생산자물가 0.55% 상승

급등세를 보이고 있는 국제곡물과 원유의 가격이 금년말까지 비슷한 추세로 오를 경우 생산자물가를 0.55%포인트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는것으로 분석됐다. 10일 대우경제연구소가 산업연관표를 이용해 분석한 "최근의 국제곡물과 원유가격 상승이 생산자물가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올해 국제 원자재가격의 상승으로 생산자물가는 지난해의 상승률 3%는 물론 올해 전망치 2.9%를 크게 상회할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재를 분야별로 보면 밀의 경우 시카고 곡물시장에서 지난 4월중 부셸당 5백94.61달러를 기록하면서 올들어 4월까지 작년동기대비 상승률이 46.4%에 달했다. 따라서 연말까지 이같은 추세가 지속,올 한해동안 밀값이 이 수준으로 상승한다면 생산자물가를 약 0.12%포인트 상승시키게 된다. 또 대두는 지난 4월중 부셸당 7백91.60센트에 달해 올들어 4월까지 작년동기대비 32.4% 올랐으며 이같은 추세라면 연말까지 생산자물가를 0.03%포인트 끌어올리는것으로 분석됐다. 대우경제연구소는 밀과 콩보다도 원자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더 큰 원유의 가격상승이 국내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하다고 밝혔다. 원유는 지난해 12월 뉴욕현물시장에서 배럴당 평균 19.02달러(서부텍사스 중질유기준)에 거래되던 것이 지난 4월에는 23.24달러로 22.0% 상승했으며 올들어 1월부터 4월까지는 8.5%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원유의 상승세가 연말까지 지속된다면 생산자물가는 약 0.40%포인트 끌어올리는 압력으로 작용하게 될 것으로 분석됐다. 대우경제연구소 한진수연구위원은 생산자물가가 올들어 1월과 2월에 각각 작년동월대비 3.5%,3.7% 올랐으며 3월과 4월에는 각각 2.2%,2.0%로 안정됐으나 지난해 4월 생산자물가가 큰폭으로 올랐던 점을 감안하면 생산자물가가 안정된 것으로는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한위원은 이같은 생산자물가의 상승으로 기업의 원가부담이 가중되면 소비자물가에 이를 전가시킬 가능성이 크다면서 국제원자재가격의 폭등으로 물가불안이 크게 우려된다고 밝혔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5월 11일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