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전대통령 비자금 파문] 이현우씨 일문일답

노태우 전대통령의 경호실장과 안기부장을 지낸 이현우씨(57)는 "6공화국 초기부터 노 전대통령의 통치자금을 관리해 왔으며 퇴임을 전후해 신한은행에 예치된 통치자금 잔액은 4백85억원이었다"고 밝혔다. 이씨는 23일 새벽3시께 검찰조사를 마치고 귀가하기 직전 30여분동안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당시 통치자금은 노 전대통령이 직접 수표로 건네줬으며 조성경위에 대해서는 전혀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신한은행에 입금된 비자금이 6백억원이라는 말이 있는데. 지금까지 3개계좌만 알려져 있는데 사실은 4개계좌다. 노 전대통령 퇴임직전인 93년2월 1백30억원 1백억원 1백10억원 1백45억원이각각 예치된 계좌를 갖고 있었다. 이중 1백30억원짜리는 퇴임을 전후해 사용, 현재는 9억2천만원만 남아있다. 따라서 노 전대통령이 통치자금으로 사용하다 남은 자금은 3백64억2천만원이다. 이 돈이 남은 돈의 전부이며 다른 은행에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 자금의 조성경위와 관리 방법은. 조성경위는 전혀 모른다. 다만 노 전대통령이 그때그때 필요할 때마다 불러 수표로 건넸다. -통치자금이 수백억원이나 남은 사실은 노 전대통령도 알고 있는가. 자세한 액수는 모르지만 대충은 알고 있었다. -그동안 1백21억여원을 사용했다는 얘기인데 어디다 사용했나. 잘 모른다. 자금 조성과 지출 내역은 내가 알 필요가 없었다. -언제부터 대통령의 통치자금을 관리했으며 통치자금의 총 규모는 어느정도였나. 취임초부터 내가 맡았으며 통치자금의 총규모는 기억나지 않는다. -다른 사람은 통치자금 관리에 관계하지 않았나. 통치자금을 관리하는데 많은 사람이 필요하지는 않다. 대통령으로부터 내가 지접 받았고 경리과장인 이태진씨가 입금시키는 일을했다. -통치자금을 관리한 장부는 있나.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입출금시켰고 그때마다 보고했으며 이과장도 별도로 장부를 두지 않고 구두보고만 했다. -자진출두하게 된 경위는. 지난 17일 미국에서 귀국, 시차적응도 제대로 되기 전에 국회에서 문제가생겼다는 사실을 알게됐다. 처음에는 나와 전혀 문제가 없는 것으로 생각하다 예금통장을 확인해보고 알았다. 이후 노전대통령에게 보고하고 율사출신들과 상의한뒤 출두하게 됐다. -처음에 노 전대통령도 신한은행의 통치자금 예치사실을 알고 있다고 했는데 박계동의원 발언직후 연희동에서 박의원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하겠다는 의사는 그렇다면 노 전대통령이 거짓말한 것이 아니냐. 상세한 것을 보고하지 않아서 대통령은 몰랐을 것이다. -대통령의 통치자금이 상업은행 효자동지점에 "청우회"와 "KHS" 명의로도 개설됐던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금시초문이다. 전혀 기억에 없다. 그러나 효자동지점은 청와대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 청와대 자금을 대부분 취급했다. 통치자금의 일부가 효자동지점에 일부 예치됐는지 모르겠지만 가능성은 있다고 본다. -통치자금으로 사용하다 남은 돈을 노 전대통령은 어떻게 사용하려 했는가. 퇴임후 공익사업에 쓰려고 했다. -명의를 빌려준 하종욱씨에게 세금문제를 해결해 주겠다고 했으면 상황이 이렇게 되지 않았을 텐데. 차명계좌인줄 알았으면 당연히 그렇게 했을 텐데 최근까지 가명계좌에 예치돼 있는 줄 알았다. -퇴임이후 거의 돈을 인출하지 않은 것은 실명제 때문인가. 그렇다고 볼수 있다. -지금 심정은. 각하를 가장 측근에서 보필하다 이렇게 돼 각하께 죄송하다. 그리고 국민들에게도 심려를 끼쳐드려 무엇으로 사죄해야할지 모르겠다. -만약에 이번 사건으로 사법처리된다면. 국민의 한사람으로서 실정법을 위반했다면 피할수 없는일 아닌가. 잘못한 일이 있다면 어떤 처벌도 달게 받겠다. -3백64억원의 통치자금을 이제 어떻게 할 것인가. 개인적으로 국고에 헌납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위"에서 결정할 것이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10월 24일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