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주 42시간 근무' 실시

기아 대우에 이어 현대자동차가 주당 근무시간을 44시간에서 42간으로 줄이기로 노사간에 합의,자동차업계가 "주 42시간 근무시대"로 들어섰다. 자동차업계의 "주42시간 근무시대" 개막은 국내산업에서 차지하는 자동차의 위치나 자동차노조의 비중으로 보아 앞으로 산업계및 노동계에 적지않은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 조합원들은 24일 금년 주42시간 근무르 포함한 임단협잠정합의안을 표결에 붙여 66,6%의 찬성으로 통과시키고 9월부터 격주토요휴무제를 통한 주당 42시간 근무를 실시키로 했다. 기아자동차는 이에 앞서 지난해 임단협에서 노사가 합의,이미 주당 42시간근무를 실시하고 있으며 대우자동차도 올 임단협에서 올해 43시간 근무를 실시한뒤 내년부터는 주당 근무시간을 42시간으로 줄이기로 합의한바 있다. 자동차업계의 주42시간제 도입으로 이들 업체와 관련있는 협력업체들과 호황업종인 전자 자동차업계는 근로시간단축 운동이 확산될것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비해 노총등 노동계는 실제로 주40시간을 목표로 근로시간단축운동을 추진하고 있다. 주42시간근무는 내년 입단협의 최대장점이 될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80년이후 주 48시간제를 유지해오다 89년 근로기준법을개정,주당 44시간 근로체제를 유지해왔다. 44시간이 넘는 근로는 시간외근로로 인정,50%의 가산임금을 지급토록하고 있다. 경총의 김영배정책본부장은 "생산성 향상이 전제되지 않는 근로시간 단축은경쟁력 약화를 초래한다"며 "능력급제도입등으로 보완하지 않으면 기업의 인건비부담은 가중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8월 26일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