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여행] 메모리와 자유

컴퓨터는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변신을 거듭한다.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면 문서편집을 할 수 있고 사운드 카드나 TV수신카드를 꽂으면 가정 노래방이나 TV역할을 한다. 컴퓨터가 가전제품과 달리 여러가지 일을 할 수 있는 이유는 주기억장치인 메모리가 작업책상 노릇을 하기 때문이다. 메모리는 언제나 썼다 지웠다 할 수 있는 칠판과 같다. 메모리는 RAM(random access memory 임의접근기억장치)으로 되어 있기때문에 전원공급이 끊기면 그동안 기억한 모든 내용을 잃어버리고백지상태로 돌아간다. 사용자가 워드 프로세서 작업을 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컴퓨터는 프로그램 내용을 메모리에 옮겨놓고 일할 준비를 한다. 글을 쓰기 위해 책상위에 종이와 볼펜을 올려놓는 것과 마찬가지 이치다. 프로그램을 끝내면 메모리에 있던 내용은 남김없이 보조기억장치로돌아간다. 책상을 정리해야 다른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언제나 모든 것을 잃어버릴 각오가 되어 있기 때문에 메모리는 그만큼자유롭다. 메모리로 인해 생겨난 자유는 컴퓨터사용자에게 무한한가능성을 열어준다. 사용자가 쓸 수 있는 메모리의 크기는 PC의 발전과 함께 확대됐다. 현재 PC 운영체제로 사용하고 있는 DOS에서 활용가능한 메모리의 크기는640KB며 윈도즈에서는 16MB까지 사용가능하다. 80년대 초반 국내에 도입된 애플 개인용 컴퓨터가 쓸 수 있는 메모리의크기는 단지 64KB였다. 10여년 사이에 사용자가 쓸 수 있는 책상크기가10배이상 커진 셈이다. 프로그래머들은 지금도 소프트웨어가 메모리에서 차지하는 크기를 줄이기위해 밤을 새운다.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가 쓸 수 있는 작업공간이 넓어진만큼 작업책상을 잘 정리하는 사용자의 능력도 더욱 중요해졌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