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용어] 피용자보수..생산에 참여한 사람이 받는 임금

한나라 경제가 1년동안 생산한 재화와 용역은 소득이라는 형태로 국민경제각 구성요소에게 분배된다. 이같은 소득은 일차적으로 생산과정에 직접 참여한 각 경제주체, 즉 노동제공자와 자본 경영의 제공자에게 분배된다. 또 정부는 이 소득중 일부를 부가가치세와 같은 간접세를 통해 거두어들이게 된다. 이처럼 경제주체에 배분되는 소득중 노동제공자에게 제공되는 부분을피용자보수라고 부른다. 다시말해 남에게 고용되어서 생산에 참여한 사람들이 노동을 제공한 대가로 받는 급료 입금등을 가리킨다. 이에반해 자본과 경영을 제공해 생산활동을 주관한 경제주체에게 돌아가는몫은 영업잉여라고 부른다. 피용자보수는 국민총가처분소득에서 가장 큰 부분(지난해 47.1%)을 차지하는 것이 보통이며 지난해 경우 1백24조7천억원에 달했다. 피용자보수의 규모와 증가율은 취업율이나 임금상승율등의 영향을 받는다. 한은은 지난해 취업증가율과 임금상승율이 상대적으로 둔화돼 피용자보수증가율이 9.5%에 그쳤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92년(12.3%)보다 크게 둔화된것이며 같은기간 영업잉여 증가율(11.1%)보다도 낮은 것이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