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이상 이틀에 1병꼴 음주...작년 1인당 127.5병 소비

알콜도수가 높은 술을 많이 마시는 쪽으로 국내 술소비문화가 바뀌고있다. 우리나라 사람이 작년 한햇동안 마신 술은 1인당 맥주 69.2병, 소주47.6병, 막걸리 10병, 위스키 0.7병등 1백27.5병으로 92년의 130/2병보다 2.7병이 줄어들었으나 소주 위스키등 독한 술을 소비량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맥주출고량은 1백52만4천7백19㎘로 가정용 보통크기인 5백㎖로 환산하면 1인당(93년인구 4천4백5만명기준)69.2병을 마신 것으로 나타나 92년(인구4천3백66만3천명기준)보다 병수로는 3.2병, 수량으로는 3.6% 줄었다. 맥주출고량은 지난 82년이후 11년만인 지난 92년 처음으로 줄어든뒤2년째 연속 감소추세다. 막걸리출고량은 33만1천1백91㎘으로 1인당 47.6병(7백50㎖)을 소비했는데 92년에 비해 수량으로는 10.9%, 병수로는 1.3병이 감소했다. 그러나 소주는 출고량이 75만4천2백49㎘로 1인당 47.6병(3백60㎖)을소비, 92년보다 4.6% 늘어났고 위스키출고량은 1만1천8백90㎘, 1인당0.7병(3백60㎖)을 기록, 92년보다 13.4% 증가했다. 국세청관계자는 "93년의 1인당 술소비량은 20세이상 인구를 기준으로 할때 이틀에 1병꼴로 마신 셈"이라면서 "경기침체와 술소비문화의선진화로 맥주와 막걸리는 소비량이 줄고 소주와 위스키는 늘어났다"고 말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