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2조/신세계 1조 목표...국내 대형백화점 올 매출전략

시장개방과 내수부진, 그리고 유통업체간 경쟁심화로 백화점업계가 고전하고 있다. 전경련 예측으로는 올해 백화점 업계 매출이 20.7%쯤 증가할 것이라 한다. 예년수준에 못미치는 증가율이다. 이같은 시장여건을 헤쳐 나가기위해 국내 5개 대형백화점 사장들이 밝히는 올해 목표와 각오가 대단하다. 롯데백화점은 `매출 2조원 돌파'', 신세계백화점은 `1조원 돌파''를 각각 내걸었다. 롯데 강진우사장은 "91년 매출 1조원을 달성한데 이어 올해 드디어 2조원을 이뤄내겠다"고 밝혔다. 강사장은 "이를 위해 지방진출 1호점인 부산점 건설을 비롯, 올해 과감한 투자계획을 세웠다"며 "국제화전략에 따라 러시아 진출사업을 확장하고, 다른 해외지역에도 거점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신세계 권국주대표이사 부사장은 "그룹분리후 3년째인 올해 반드시 매출 1조원을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작년에 선보인 디스카운트스토어를 2-3개 추가 개설하고 회원제 창고형 도산매점 1호점을 서울에 열 계획. 권부사장은 "동경 파리 LA 홍콩등 4개 사무소를 현지법인화해 해외사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현대 김영일사장은 "올해엔 발주구매-재고관리를 모두 전산화하겠다"며 "95년 완공예정으로 부산점을 본격 추진하며, 경기도 용인에 종합물류센터도 착공하겠다"고 말했다. 북경백화점과의 의류공장을 합작설립, 중국진출 기반 확보계획도 잡혀있다. 미도파 한진유사장은 "상계점 급신장을 바탕으로 지난해보다 20% 늘려 매출 5천1백억원을 올리겠다"고 밝혔다. 미국 LA한인타운에 세우고 있는 `퍼시픽 트레이드 센터''에도 입주하고, 중국 진출도 시도할 계획. "외식사업체 코코스와 편의점 스파매트 사업도 빼놓을 수 없으며 명동점은 완전히 새로 고친다"고 밝혔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