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동기시대 지났다"...능력우선인사제 대기업 도입확산

입사동기라 하더라도 능력에 따라 승진시기가 달라지고 봉급액수에 차이를 두는 기업들이 늘어나고있다. 9일 재계에 따르면 최근 금성사가 능력주의 인사정책을 도입한 것을계기로 과거 우리기업의 인사정책의 주류를 이루었던 연공서열방식의 직무체계가 이른바 `능력우대''로 빠르게 개편될 전망이다. 금성사가 이달부터 시행중인 능력주의 인사체계는 직책과 직급을 분리해 조직운영의 책임자인 직책은 해당분야에 가장 적합한 인물을 선정해맡김으로써 앞으로는 직급이 낮은 사람이라도 능력에따라 높은 직책을맡을수 있도록 하고있다. 또 기존의 기본급을 기초급과 직무능력에 따른 능력급으로 구분해 능력급에서 호봉이 같더라도 인사고과에 따라 급여에 차이가 나도록 했다. 럭키금성그룹은 금성사의 능력주의 인사체계의 성과를 지켜본뒤 이를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전계열사에 확대할 것을 검토중이다. 삼성그룹도 학력, 성별에 따른 연공서열식 인사원칙을 완전히 무시하고 업무능력과 난이도를 인사의 최우선 기준으로 하는 `삼성형 능력급인사제도''를 올하반기에 2~3개 계열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후 내녀부터전계열사에 확대할 계획. 삼성은 이를위해 연공급과 능력급으로 구성되던 임금체계를 공통급능력급업무급(직능급)으로 바꿀 방침이다. 임금의 60~70%를 차지하는 공통급은 사원생계유지 차원에서 연공기준에 따라 매년 승급해 지급되지만 업무급과 능력급은 직무난이도및 업무능력에 따라 결정되며 판정은 부서장 혹은 상사가 내리도록 돼있다. 두산그룹은 박용곤회장이 연초에 능력급 도입검토를 지시해 계열사별로 세부방안을 검토중이며 내년부터 계열사의 40%정도가 능력급을 도입할 전망이라고 그룹관계자는 밝혔다. 능력주의 인사체계가 각 기업으로 확산되는 것과 함께 경영성과가 목표치를 넘을 경우 성과의 일부분을 근로자에게 현금 주식 복지그김의형태로 배분하는 성과배분제도의 도입도 늘고있다. 재계는 전국의 종업원 1백인이상 사업체 5천5백11개중 91년에 성과배분제 실시 기업수는 14.1%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에는 24%로 증가한데 이에 올해는 5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