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 구급화 추세 교퉁 요금의 편법 인상 폐해 나타나

최근 철도.시내버스.고속버스.택시 등 각종 대중교통수단의 고급화 추세가 가속화되면서 교통요금의 `편법인상''이라는 폐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26일 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우등고속버스가 도입된 데 이어 12 월 모범택시가 운행을 개시했으며, 전국 6대 도시의 시내버스에서 좌석버스가 차지하는 비율도 지난 89년 11%에서 92년 24%로 13%포인트 늘어났다. 우등고속버스는 현재 운행대수 5백50대로 전체 고속버스의 25%를 차지 하고 있으며 오는 6월말까지 32%로 늘어날 예정이고, 모범택시는 현재 3 천9백11대가 운행하고 있어 서울택시 전체의 6% 수준이다. 또 철도청은 오는 5월1일부터 서울~부산간 경부선 통일호 3왕복을 새마을호로 대체 운행하고 서울~포항에도 새마을 1왕복을 신설할 계획이다. 철도의 경우 최고급열차인 새마을호가 91년 44왕복에서 93년 68왕복으 로 크게 늘어난 반면 요금이 가장 싼 비둘기호는 91년 2백74왕복에서 93 년 2백68왕복으로 오히려 줄어들었으며 여객수입도 전체적인 증가추세 속에서 통일호는 감소현상을 보였다. 이렇게 교통수단이 고급화되고 있는 것은 좀더 비싼 값을 치르더라도 서비스 수준의 향상과 안락함을 바라는 수요자쪽의 요구에 부응한다는 측면이 있고 이용객을 위한 선택의 폭을 넓힌다는 장점도 있으나 부작용 또한 만만치 않다는 지적이다. 교통수단 등급의 다양화는 서민계층을 위해 가장 싼 운임을 받는 기본 등급을 유지.개선.확대하면서 이뤄져야 하는데도 사업자쪽의 경영적자를 메우기 위한 수입증대 차원에서 일반 등급을없애고 고급으로 대체하는 경향이 짙다는 것이다. 모범택시의 운임은 일반 중형택시의 3배 수준이며 좌석버스는 일반버스의 2배, 우등고속버스는 일반고속버스의 1.5배 수준인데, 고급수단 이용 객들은 만족을 표시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일반수단을 이용하는 사람들은기존의 서비스수준이 더욱 저하되고 있다는 우려를 나타낸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