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재할1-2%P, 수신도 단기 1-장기 2% 내리기로

정부는 오는 26일 금융통화운영위원회를 열어 한은재할금리를 1~2%포인트 은행대출금리는 1.5~2%포인트,예금금리는 1~2%포인트 내리는등 대폭적 금리인하조치를 단행키로 했다. 정부와 민자당은 21일 오전 여의도 민자당당사에서 이룡만재무부장관과황인성정책위의장이 참석한 가운데 당정협의를 갖고 이같은 내용의 금리인하방안에 합의했다. 이에따라 한은재할인금리는 연7%에서 어음종류에따라 5~6%로 차등인하되고현재 연10~12.5%로 평균 11.75%인 은행대출금리는 연9~11%로 평균 10%수준으로 떨어진다. 은행예금금리의 경우 3개월미만 단기예금은 평균 연2%포인트,3개월이상 장기예금은 연1%포인트씩 인하돼 1년만기 정기 예.적금은 연10%에서 9%로2년만기는 연12%에서 11%로3년만기는 연13%에서 12%로 떨어진다. 이번 금리인하는 지난 89년 11월14일 경기부양을위해 재할인금리와 대출금금리를 각각 1%포인트 인하한지 3년3개월만에 취해진 것으로 경제성장률이 연4%대로 떨어지는등 침체국면에 있는 우리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것이다. 또 은행권금리와 동시에 이루어질 제2금융권금리인하폭은 여신금리는 연1.5~2%포인트,수신은 1.5%포인트로 알려졌다. 재무부는 규제금리 자유화금리 시장금리등 금리가 1%포인트 하락할경우 기업의 금융비용 경감효과는 연간 1조9천8백억원에 달할것으로 보고 있어 이번 금리인하조치로 전반적금리하락폭을 1.5~1.7%포인트로 볼때 기업의 금융비용은 3조5천억원정도 덜어질 것으로 추산된다. 이날 당정협의에서는 또 그동안 논란을 빚어온 제2단계 금리자유화는 단기적인 금리상승우려가 있는만큼 현시점에선 곤란하다고 결론짓고 구체적인 시행시기와 대상금리의 종류 방법등은 관계부처 실무자로 구성된 대책반에서 검토키로했다. 이와관련,재무부는 2단계 금리자유화대상중 파급효과가 비교적 적은 2년이상 회사채 금융채의 금리만은 2월중 자유화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중이다. 정부는 여.수신금리인하로 은행의 경영수지가 악화될 것으로 보고 은행의수수료현실화시기를 앞당겨 주는등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지준율인하는 통화의 급팽창등을 우려,은행수지개선대책에 포함시키지 않기로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