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국가공무원 1.5%만 증원키로

정부는 행정기구및 조직의 확대를 지양키로 함에따라 국가공무원의증원은 최대한 억제하되 지방자치제의 실시등으로 행정수요가 늘어나고있는 지방공무원의 증원은 예년의 수준을 유지할 방침이다. 이와관련 정부는 내년도 국가공무원의 증원비율을 예년에 비해 대폭줄어든 1.5% 수준으로 억제하는 한편 지방공무원의 증원은 5-6%선으로설정, 전체적인 공무원 증원비율이 3%선을 넘지 않도록 할 방침인 것으로알려졌다. 정부의 한 당국자는 3일 "기구및 인력보강위주로 운영해온 정부조직을행정전산망확충등을 통해 능률위주로 개편해 나가기로 함에 따라 내년도국가공무원의 증원 비율은 1.5% 수준에서 억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그러나 인력증원을 최대한 억제하는 대신 내년부터 제2차행정전 산망작업을 본격추진하는 한편 능률을 극대화할수 있는 방향으로조직의 기능을 조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지방자치제가 점차 자리를 잡아감에 따라 일반민원처리등지방공무원들의 업무량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지방공무원들의증원비율을 상향조정하기 보다는 예년의 수준을 유지하며사무능률향상등을 통해 대처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87년이후 3년동안 전체공무원수는 15.9%가 늘어나 매년평균5.3%씩 증가해 왔으며 이가운데 국가공무원은 연평균 3.9%, 지방공무원은연평균 6%씩 늘어났다. 지난해말 현재 우리나라 공무원수는 국가공무원 54만여명과 지방공무원26만4천여명등 모두 80만4천명이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