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준 제2대 광주시교육감 취임

여성, 고령층 노동력의 비중이 해마다 늘어 나고 있어 이들을 위한정책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 앞으로도 계속 증가세 보일 전망 *** 한국노동연구원은 8일 발표한''노동력 공급의 질적변화와 인력정책의과제''따르면 전체 노동력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75년 35.8% 80년37.5% 85년38.3% 90년 40.5%등으로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앞으로도 95년 41.0% 2천년 41.0% 등으로 지속적으로 늘어 날 것으로전망했다. 또 전체 경제활동인구중 고령층 (60세 이상)도 75년 4.9% 80년5.0% 85년 5.7% 90년 6.3%로 계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95년6.8% 2천년 7.8%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비해 젊은층(15-29세)의 노동력 비중은 75년 24.2% 80년22.0% 85년 16.6% 90년 14.2%로 해마다 줄어 들고 있으며 95년12.5% 2천년 9.9%로 계속 감소추세를 보일 것으로 추정됐다. 노동연구원은 출생률저하로 인한 육아부담의 감소 내구소비재의보급등으로 인한가사부담의 저하 여성학력수준의 증가와 사회참여의욕의확대등에 따라 여성 노동력이 크게 증가한 반면 고등학교,대학교로의취학률이 해마다 높아져 젊은층의 노동력은 떨어지고 있으며정년연장,기능인력난에 따른 재취업 증가등으로 고령층노동력의 비중이커져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 여성 / 고령층 위한 정책개발 시급 *** 노동연구원은 따라서 여성, 고령층노동력의 지속적인 확대를위해 파트타임(시간제) 근무, 계약제 고용등 다양한 취업형태의 개발전업재훈련을 위한 고용보험및 중고령보험의 조기실시 ''조기은퇴제도''의 도입등 연금제도의 개선및 1차산업 취업자등 자영업주의고용증대책 마련등 정책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