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무역회사들, 공산권 동남아등에 중개무역상 역할 담당

북방진출이 확대되면서 우리나라 중소무역회사들이 공산권국가와동남아국가 사이에 중개무역상역할을 담당하기 시작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지금까지 공산권국가와 교역을 할때 일본 및 홍콩등지역 중개상에 의존해 오던 국내 중소수출업체들이 올 하반기부터는 오히려말레이시아등 동남아 국가들에 중개무역상역할을 맡아주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고려무역의 경우 중국의 유화제품업체인 C상사가 생산하는 합성고무등 품목을 3차례에 걸쳐 인도네시아의 중쇠기업들에 공급해 왔다. 고려무역은 지금까지 일본의 I상사와 S상사가 맡아오던 공산권국가와동남아국가간의 3각무역중개상 역할이 성공을 거둠에 따라 앞으로는 소련및 동구국가들의 기계류등 물품도 아직 공산권국가와 수출입선이 없는태국등에 공급토록 할 예정이다. 또 중소수출입업체인 Y무역과 D통상등도 소련 및 중국에서 공작기계등품목 2만-10만달러어치를 중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들어 중소무역업체들이 3각무역에 적극 참여하고 있는 것은 소련중국등의 경우 일정물량의 상품을 수입해 가야만 거꾸로 이 지역에 수출할수 있는 권한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편 대기업에서는 삼성등 종합상사에서 소련산 원유등 원자재를 동남아지역에 공급한 바 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