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생산증대 본격화..중동산유국들, 세계수요크게 늘어

사우디아라비아/이라크등 페르시아만 연안 산유국이 원유생산능력증강을본격화하기 시작했다. 세계적인 석유수요증가와 각국의 생산여력으로 보아 중/장기적으로 증산체제가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사우디는 최성수기의 생산량에 가까운 하루 1,000만배럴가지 능력을 확대할게호기인데 사우디는 우선 해상의 사파냐유전에 1일 27만 배럴의 처리능력을갖는 원유/가스분리장치를 신설키로 했다. 사우디는 이같은 프로젝트를 통해 석유생산능력을 현재의 1일 750 - 800만배럴에서 90년대 중반가지 1,000만배럴로 증강키로 했다. 아랍에미리트 (UAE)도 육상유전의 산유량을 현재 1일 100만배럴에서5,6년이내에 170만 배럴까지 늘릴계획이다. 또 이란도 앞으로 2년이내에 생산능력을 1일 100만배럴정도 늘려나가기로했다. 특히 이라크는 작년 11월 주베일유전의 생산량을 7만배럴에서 23만 배럴로확대시킨대 이어 금년중에도 카바즈/사담등 양유전에서 생산을 개시할계획으로 있다. 이들 양유전의 생산능력은 1일 7만 5,000 - 8 만 5,000배럴로 예상되고있는데 샤라비석유상은 최근 내년 중반까지 산유능력을 450만배럴까지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힌바 있다. 이밖에 쿠웨이트도 해외에서의 유전획득, 생산증강에 눈을 돌리고 잇다. 쿠웨이트의 해외석유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KUFPEC는 이집트의 수에즈북서오스트리아에서 이미 원유를 생산하고 있으며 또 인도네시아/콩고튜니지등에서도 곧 생산을 개시할 계획으로 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