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파업 장기전 양상..25차 단체교섭 30분만에 깨져

편집권 독립과 공정보도를 위한 제도적 장치마련을 둘러싸고 6일째 파업이계속되고 있는 서울신문 노사분규는 28일 하오 어렵게 재개된 25차 단체교섭이 30분만에 결렬됨으로써 극적인 타결이 이루어 지지않는 한 장기전 양상을면치 못할 전망이다. *** 노/사서로 타협의 여지 안보여 *** 노조 파업 돌입후 처음으로 열린 이날 단체교섭은 노조측이 그동안 견지해왔던 3개 제작국장 임면동의제및 사후평가제, 사원지주제등 미타결 쟁점에대한 수정안을 제시했으나 회사측은 이같은 수정안이 종전보다 더 강경 해진안이라고 규정, 협상결렬을 선언함으로써 쟁점 사항에 대한 이견은 좁히지도못한채 양측의 팽팽한 입장만을 거듭 확인하는 회의가 되고 말았다. 이에따라 노조는 노조대로 회사측의 강경입장과 파업 장기화에 대비한비상대책을 강구, 수정안 자체를 전면 백지화 시키는 한편 제 2의 파업투쟁의시발로 이날부터 쟁의 대책위원 50여명이 무기한 철야농성에 들어 갔으며회사는 회사대로 노조측이 자신들의 요구사항을 조금이라도 굽히지 않는 한추후 협상에 임할 수 없다는 강경입장으로 맞서고 있어 당분간 사태해결의실마리를 잡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 노조, 제2의 파업투쟁 시작 *** 특히 노조측은 파업 돌입후 6일만에 재개된 이날 교섭에서 회사측이 협상의재량권을 갖고 있지 못한것 같다는 자체 판단아래 이번 싸움은 결국 회사경영진이 아닌 서울 신문의 대주주인 정부와의 투쟁으로 발전해 나갈수 밖에없다는 입장을 굳히고 있어 국면은 더욱 어렵게 전개되고 있는 듯한느낌이다. 지난 7월 22일 이후 24차례에 걸친 단체교섭에도 불구, 서울신문,스포츠서울등 3개 제작국장 임면동의제및 사후평가제등 공정보도부문과사원지주제, 시간외수당등 법정수당지급 문제등 3개쟁점에 대한 이견을좁히지 못하고 지난 23일 끝내 파업사태를 맞은 서울신문 분규는 첫단체교섭이후 파업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는 지금까지 사실상 임금부분을제외하고는 노사양측의 기본입장이 한치의 변화도 없는 정면대립 양상이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회사측은 노조의 파업에도 불구, 비조합원 700여명과 조합원이면서 신문제작에 참여하고 있는 일부 차장들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별다른 차질없이신문을 제작해 왔고 파업이 장기화되는데 따른 손해등을 감수하고라도신문발행은 중단하지 않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밝히고 있다. *** 장기화될 경우 신문제작 차질 불가피 *** 이에대해 회사 1층로비에서 연좌농성으로 맞서고 있는 노조는 회사측이전산제작국, 윤전부등 제작관련 부서직원들을 ''감금'' 하다시피하면서지금까지 신문제작을 강행해 왔으나 파업이 장기화 될수록 제작이 차질을면치 못할 것으로 보고있다. 현재 노사가 팽팽히 맞서고 있는 부분은 편집권 독립과 공정보도에 관한조항으로 여기에다 노조측이 사원 지주제도입 요구가 첨예한 쟁범으로부각돼 있다. 노조측은 당초 3개 제작국장중 서울신문 편집국장에 대한 임면 동의제에대해서는 수용할 의사를 비치던 회사측이 MBC 파업을 계기로 이마저완강히 거부하는등 공안 정국의 강성기류에 맞춰 강경 입장으로 선회,사태가 악화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회사측, "사원지주제 도입시한 90년 6월까지등 노조추가요구 더 많아져 ** 이같은 노조측 주장에 대해 회사측은 "노조의 수정안 자체가 편집국장임면에 관한 총의반영과 이에 따른 세부사항을 조합이 정한다고 못박고 있는데다당초에는 빠져있던 사원 지주제 도입시한을 90년 6월까지로 적시하는 등강경으로 선회하고 있다" 고 맞서고 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