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복 패션화, 가격 양극화 추세

전반적인 소득수준의 향상과 중산층의 확대등에 힘입어 남성복의 패션화경향과 함께 가격의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22일 의류, 유통업계에 따르면 값비싼 패션의상에 대한 여성들의 선호추세가 고급 홈인테리어 및 신변잡화류로 옮겨가고 있는 반면 최근에는 남성들도 개성과 멋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면서 남성복의 패션화와 함께 가격의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남성복 정장의 경우 기존의 반도패션, 에스에스패션, 제일모직, 맨스타의 25만-35만원대 상품이 주종을 이루다 최근에는 고급 브랜드인 랑방,이브생로랑, 닥스등 40만-50만원대 제품이 전시 판매 되는 한편으로 염가의신규브랜드가 잇따라 등장하고 있다. 9월초 (주) 삼풍에서 최초로 브랜우드라는 상표로 13-18만원대의 정장,3-4만원대 비자가 선을 보인데 이어 최근에는 삼성물산이 사회 초년생을겨냥해 기존 제품보다 가격대를 크게 낮춘 12만-15만원대의 빌트모아 정장브랜드를 개발하는등 중/저가 브랜드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캐주얼 남성복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20만-30만원대의 재키, 까르뜨블랑쉬, 워모, 마리오 그란데, 다반등이 속속 등장하는 한편으로 3만원대미만의 염가브랜드인 이랜드, 언더우드, 헌트, 브렌따노등이 젊은층을중심으로 선풍적인 이기를 얻고 있다. 이와 함께 롯데, 신세계, 현대, 뉴코아등 유명백화점들도 자체고유브랜드를 통해 중/저가 상품판매를 계속 확대시켜 나가고 있어남성복의 경우 패션화 경향과 함께 고급브랜드와 염가브랜드로 양분현상이점차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