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흥/상업/광주 3개은행만 연내 증자

조흥, 상업, 제일, 한일, 서울신탁은행등 5대 시중은행 가운데 조흥과상업 두 은행과 지방은행인 광주은행만 연내에 증자를 실시하고 나머지3개 시은의 증자는 내년초로 미루어질 전망이다. 그러나 이같은 유상증자에 뒤이어 실시될 각 은행의 무상증자폭에 관해이들 은행끼리는 물론 은행감독원과 해당 은행들간에 심한 견해차이를보이고 있어 지난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무상증자 문제가 또 한차례 큰 논란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 5대 시중은행 모두 증자시 증시물량압박 우려 *** 18일 은행감독원과 금융계에 따르면 5대 시은은 지난 상반기에 이어또다시 각각 1,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일제히 추진해 왔으나 증자가한꺼번에 실시될 경우 증시에 엄청난 물량압박을 가하게 될 것을 우려한당국의 제동에 걸려 이중 일부만 연내에 증자를 실시하고 나머지 은행은증자시기를 내년초로 미루기로 했다. 이와 함께 광주은행은 지난 연초 투기성 외환선물거래로 발생한 346억원이라는 거액의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조기 증자가 불가피하다는 판단아래오는 10월말께 납입자본금을 현재의 724억4,600만원에서 1,000억원으로 확대한후 곧이어 10%의 무상증자를 단행키로 확정했다. 현재 5대 시은의 주가수준에 비추어 5대 시은이 1,000억원씩 증자할 경우증시에 공급되는 물량은 약 1조5,000-1조6,000억원 규모로 추정되는데 시은의 이같은 증자 추진은 최근 한은이 연 3%의 저금리가 적용되는 특융자금(A2) 3,390억원을 회수, 연 8%의 유동성조절자금 (B2)으로 대환키로 함에따라 자금사정과 수익구조가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 조흥, 상업은행 무상증자폭 10%정도 *** 이와 관련, 은행감독원은 부실자산 규모가 큰 조흥과 상업은행만 연내에유/무상증자를 실시하되 무상증자폭을 10%정도로 억제하고 내년 2월 하순께의 정기주총에 앞서 증자를 실시할 나머지 3개 은행은 최고 15%의 범위내에서 증시상황을 고려해 증자를 결정하는 방안을 제시했으나 조흥과 상업은행이 이에 강력히 반발, 선뜻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한 시은 임원은 "증자를 실시하면 주식초과발행금을 포함,조달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자금이 3,000여억원씩 들어오기 때문에 먼저실시할수록 그만큼 유리하게 마련"이라고 지적하고 "따라서 나중에 실시하는 은행들에 대해 무상증자폭에 차등을 두어 주가를 지지해 주는 것은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5대 시은은 지난 상반기에도 각각 900억-1,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통해 자본금 규모를 5,000억원으로 늘렸으나 무상증자폭을 놓고 심한 논란을 벌인 끝에 증자시기가 늦어져 공모주가가 가장 높았던 한일은행만 12%의무상증자를 실시했고 나머지 4개 은행은 모두 10%로 무상증자폭이 통일됐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