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개도국 성장 둔화...세계은행 전망

지난해 세계어느지역보다도 높은 경제성장률을 나타냈던 아시아국가들이올해에는 전반적으로 성장률둔화를 보일 것이라고 세계은행이 15일 전망했다. *** 중국 / 인도 / 버마등 정국불안 영향 *** 세계은행은 이날 지역별 경제성장 전망 보고서에서 현재 정치적 혼란을겪고 있는 아시아개도국들의 경우 경제성장세의 둔화가 한층 두드러질것으로 예견했다. 88년에 11%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중국은 지난 6월 천안문사태이후 당국의 경제통제강화조치와 관광수입및 개인투자의 격감, 무역적자의 확대등으로성장률이 급격히 둔화될 것으로 예측됐다. 그런데 중국의 무역적자는 지난 6월이후 급증, 올들어 8월까지의 총 적자액이 지난해 같은기간의 25억달러를 두배이상 웃도는 68억5,000만달러로나타났다. 지난해 농업부문의 호조로 9%의 성장을 이룬 인도는 올들어 무기구매스캔들에 따른 야당의원의 총사퇴 전국총파업등의 사회불안으로 5-6%성장에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타밀게릴라활동과 관련, 정정불안을 겪고 있는 스리랑카와 미얀마 네팔등도정치적혼란 때문에 지난해보다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공산게릴라들의 발호와 토지개혁의 지지부진으로 사회불안이 팽배해지고있는 필리핀도 올해 경제성장률이 지난해의 6.7%보다 크게 떨어진 4.7%에머물 것으로 전망됐다. *** 한국 - 대만 - 홍콩도 다소 후퇴 *** 싱가포르를 제외한 한국 대만 홍콩등 아시아신흥공업국 역시 통상마찰및통화절상, 높은 임금상승에 의한 수출감소, 노사분규등으로 지난해의 10%를넘는 높은 성장률에서 올해는 다소 후퇴할 것으로 예측됐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