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소유집중현상...생산성본부

국내기업의 소유집중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14일 한국생산성본부가 종업원 50인이상의 제조업체 387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한국 기업의 경영력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최대주주 1인및 상위10인 대주주에 주식이 집중된 업체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87년 기준으로 최대주주 1인이 50%이상의 주식지분을 소유하고 있는업체는 39.9%, 40-50% 소유기업이 15.4%, 30-40% 소유업체 13.6%, 20-30% 소유업체 17.5%, 20%미만 소유업체가 13.6%로 86년에 비해 1인지분비율이 50%이상인 업체는 11.3%포인트 증가한 반면 20%미만인 업체비율은 7.2% 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상위 10인 대주주 지분비율이 80%이상인 업체도 전체기업의 60.3%로 나타나 전년보다 10.7%포인트 늘어나 소유집중현상의 심화추세를 반영했다. 한편 창업자가 사장인 기업은 86년 50.3%에서 87년에는 53.7%로, 2세사장은16.2%에서 87년 21.6%로 각각 증가한 반면 기업내부 승진 사장은 86년 15.4%에서 87년 13.4%로, 외부초빙사장은 18.1%에서 87년 11.35%로 각각 감소했다. 종업원 채용방식은 본사대졸사원의 경우 공개채용기업이 65.2%, 연고채용기업이 34.8%로 공채가 많은 반면 현장의 중/고졸 사원은 공채비율이 52.7%, 연고채용이 47.3%로 엇비슷했다. 대기업들은 그러나 본사대졸사원과 현장 중/고졸사원의 공채비율이 각각88.8%와 63.1%로 나타나 공채제도가 정착된 것으로 분석됐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