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보험협회, 무용론도 제기

개방화 파고속에 창립 39주년을 맞은 생명보험협회는 최근 안팎으로부터강한 도전에 직면, 존망의 기로에 서 있는 양상이다. 생보협회는 과거 외부의 힘있는 인사를 회장등으로 영입, 기존 6개 생보사를 주축으로 한 과점체제속에 정부의 보호와 "은혜"로 총자산이 1조-6조원규모에 이르는 거대 기업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하고 보험당국의 의사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해 왔다는 것이 중론인데 최근 일련의 대내외시장개방등과 관련, 기존사의 이해를 제대로 대변하지 못하게 되자 규모가 커진 개별 회원사가 협회를 제치고 직접 로비에 나서면서 협회무용론마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협회불신감은 올해 예산편성과정에 그대로 반영돼 주요 기능인 공동광고의 예산을 예년의 절반이하로 대폭 삭감당하고 또 연례적인 연초 업계공동 PR광고에서 배제당하는 "수모"까지 겪게 됐으며 회장도 회원사에서 돌아가며 맡자는 견해마저 대두되고 있다. 이는 결국 협회내부로부터도 위기의식을 고조시켜 최근 직원들이 낙하산식인사관행등 타율과 무사안일에 대해 강력히 비판하고 나서 협회 상층부는 사면초가.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