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현금투자 많아 통화증발 초래

작년에 외국인투자가 크게 늘면서 투자액가운데 약 7할이 현금으로 들어와 국내통화증발의 한 요인으로 작용했음이 드러났다. 17일 관계당국에 따르면 지난해의 외국인투자 총액은 도착기준으로 8억9,387만5,000달러에 달해 전년의 6억2,475만7,000달러에 비해 43.1%나 증가했다. 외국인투자에 대한 각종혜택이 철폐되고 있음에도 외국인투자가 이처럼늘고 있는 것은 환율과 금리등을 고려할때 대한투자의 수익성이 아직 높기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작년의 외국인투자액 가운데 69.1%인 6억1,728만7,000달러는 현금으로, 나머지 2억7,658만8,000달러는 자본재로 각각 도입돼 국내통화증발에도 어느정도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정부는 국내 투자여력의 확대로 외국인투자의 필요성이 점차 줄고 있음에 따라 앞으로 첨단기술산업, 중소기업등 극히 일부산업을 제외하고는 외국인투자에 대한 혜택을 완전 철폐, 국내기업과 똑같은 조건에서 경쟁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한편 지난해 외국인투자에서는 일본으로부터의 투자가 전체의 약 절반인 4억4,259만7,000달러에 달했고 이어 미국, 네델란드, 스위스, 서독, 프랑스,홍콩의 순이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