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전화국번 4자리로 바뀐다

내년1월부터 서울시내 전화국번이 현재의 세자리수에서 네자리수로 바뀐다. 전기통신공사는 4일 서울지역의 전화보급댓수가 올해말로 400만대를 돌파,현재의 세자리국번으로는 용량을 초과하게돼 신규전화를 가설하기 어렵게 됨에 따라 내년부터 서울시내 전화국번을 단계적으로 네자리숫자로 바꿔나가기로 했다. 이에따라 전기통신공사는 내년1월 체증이 심한 4XX, 7XX, 9XX 지역의 국번을 우선 네자리 숫자로 바꾸기로 하고 나머지 지역도 연차적으로 네자리숫자로 바꿔나갈 방침이다. 새로 바뀌는 네자리국번은 가입자의 편의를 감안해 기존 세자리국번의 둘째수와 같은 숫자를 세째자리에 끼워넣게 되며 가입자번호는 바뀌지 않는다. 예를들어 723국은(7223)국으로, 415국은(4115)국으로 국번만 바뀌게 된다. 지난 1935년 자동식전화 9,000회선으로 시작한 서울의 전화보급댓수는 60년 3만4,400회선, 70년 23만2,600회선, 80년 104만8,400회선에 불과했으나이후 산업화와 급속한 대규모 아파트권의 신축등으로 폭발적으로 수요가 늘어나 지난해말 348만400대를 돌파했으며 올해말에는 400만1,400대에 이를 전전망이다. 이에따라 63년 두자리, 80년 세자리로 바뀌었던 전화국번이 10년만에 다시네자리로 바뀌게된 것. 현재 사용되고있는 세자리국번으로 설치가능한 최대용량은 800만회선이나교환방식의 차이, DID(구내자동전화직접접속방식) 번호부여등으로 실제 사용가능회선은 60-70%에 불과하다. 또 여기서 무선호출 차량전화등을 빼고나면 올해안에 수용능력의 한계에부착치게 될 것으로 통신공사는 예상하고 있다. 전기통신공사에 따르면 여의도전화국과 중앙전화국은 현재 이미 수용한계를 초과, 신규가입자의 경우 여의도전화국관내는 비교적 체증이 덜한 혜화전화국, 중앙전화국은 광화문전화국의 계열번호를 부여받고있는 실정이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