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자사 금리 은행대출금리와 비슷

제1, 제2금융권간의 금리가 접근하고 있다. 특히 부가세납부등 월말자금성수기가 찾아오고 2월초 구정 자금수요까지 겹치고 있으나 단자사의 어음할인금리는 연 12.5-13%와 거의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는 국제수지흑자등으로 인한 통화증가로 기업내부자금이 풍족, 기업들의자금공금요청이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24일 금융계에 따르면 25일의 부가세납부액이 8,000억-1조원가량에 달하고구정자금이 필요한 때가 왔으나 기업들이 단자등 제2금융권에 자금요청을 하는 규모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한국투금등 대형단자사들의 경우 신규어음할인실적은 하루평균 50억원미만에 그치는가 하면 7일안팎의 단기성어음할인도 하루에 100억원선에 머물고있다. 이는 예년같은 시점보다 30-40%정도 감소된 것이다. 이에따라 단자업계의 평균 할인금리는 연12.5-13%선을 유지하고 있는데 발행어음 무담보어음등을 활용한 양건성예금이 없어진 점을 감안할때 금리자유화전보다 2-3%포인트 떨어진 수준이다. 이에따라 단기자금조달창구인 단자사간 콜금리는 차월금리보다 낮은 연10-11%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은행으로부터 긴급대출형식으로 빌어쓰는 타입대(연 19%적용)도 전혀 일어나지 않고 있다. 올들어 첫 자금성수기가 다가왔으나 1,2금융권간 금리수준이 안정, 동일화되는 것은 금리자유화이후 시장금리가 시중자금사정에 좌우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풀이된다. 통화당국은 지난해 4/4분기중 시중자금흡수를 자제, 총통화가 3조원이상 풀린데 이어 지난20일현재 M2증가율이 19.7%애 달하는등 시중유동성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단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월말자금성수기에도 불구, 기업의 어음할인요청은크게 늘지않고있으며 25일 1조5,000억원의 통안증권이 발행될 예정이나 시중자금이 아직 풍부해 시장금리수준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을것"이라고 전망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