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TDX1B에 결함...SW/HW설계에 미스

국내 중/소도시형으로 최근 개발된 국산전자교환기 TDX1B기종의 시험운행과정에서 기술상 큰 결함이 발견돼 상용서비스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17일 한국전기통신공사 한국전자통신연구소및 관련기업등에 따르면 서대전전화국과 생산공장등에서 최근 각각 실시된 상용시험에서 TDX1B기종이 번개가 칠때 안전성이 취약하고 기존시설에 증설을 할 경우 통화불통의 우려가 있는등 크게 2가지 결함이 발견됐다는 것이다. 정확한 원인에 대해서는 전기통신공사 전자통신연구소및 생산업체등이 공동분석중이나 통화불통의 경우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설계미스로 낙뢰안전장치미비는 GSLB(가입자 보드)라는 부품이 양호하지 않은데서 비롯된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TDX1B가 결함보완 없이 당초예정대로 오는4월부터 국내 중/소도시에 공급될 경우 낙뢰에 의한 파손위험은 물론 증설때마다 통화불통으로 이용자들에큰 불편을 주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기상전문가들에 따르면 올해는 2년 주기로 낙뢰다발이 예상되어 피해가 더 클 것으로 우려된다는 것이다. 한편 전기통신공사는 경기 안중, 경북 경산 칠곡, 강원 주문진등 4개지역에 오는4월 TDX1B의 공급을 시작, 금년중에 여타 40개 중소도시에 36만7,000회선을 비롯하여 오는90년대 초까지 모두 200만회선을 공급할 계획이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