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수출, 로컬LC 간접수출로 전환

중소기업 수출형태가 다시 로컬LC에 의한 간접수출로 전환하고 있다. 21일 기협중앙회가 1,270개 표본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3/4분기 중소기업경영실태"에 따르면 지난2/4분기까지는 LC에 의한 간접수출비중보다 높았으나 최근들어 간접수출의 비중이 다시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4분기중 중소기업수출가운데 LC에의한 수출은 전체의 35.4%인데비해 로컬LC에 의한 수출은 44.9%로 LC에 의한 비중이 9.5%포인트나 더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이같이 중소기업의 직접 수출비중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것은 원화절상등의 영향으로 미국등 직접 수출지역으로의 시장확대가 힘들어졌기 때문인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그러나 단순하청방식에 의한 수출은 전체의 16.4%로 전분기의 18.0%에 비해 상당히 줄었다. 반면 DA및 DP등 연지급방식에 의한 수출은 전체의 3.3%로 전분기의 2.2%에 비해 다소 늘어났다. 또 중소기업의 수출애로상항은 원화절상으로 인한 것이 35.2%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원자재가격상승 19.3%, 인건비상승 17.2%, 제조경비부담14.4%등으로 나타났다. 3/4분기중 판매대금결제상황에 있어서는 납품을한뒤 전체의 40.1%만이 현금을 받았을뿐 나머지 59.9%는 모두 외상어음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이들 외상결제가운데는 66.8%는 하도급거래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법정기한인 60일을 넘어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기간중 중소기업의 고용및 자금사정은 비교적 원활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