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발수출방식, 소량다품종/자가브랜드로 바꿔

신발업계의 수출패턴이 점차 바뀌고 있다.28일 업계에 따르면 원화절상 임금인상 원자재가격상승등 3고현상으로 신발수출환경이 날로 어려워져 채산성이 낮아지자 각 기업들이 내년도 수출전략을 지금까지의 다량 소품종생산방식에서 소량 다품종체제로, 수주방식도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에서 자가브랜드비중을 높이는 쪽으로 바꾸고있다. 화승 국제상사등 대기업들은 내년도 수출목표를 올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잡는 대신 채산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르까프 프로스펙스등자가브랜드수출을 늘리기위한 해외판매망확대에 주력할 계획이다. 이들 기업은 특히 원화절상으로 이미 경쟁력을 상실한 포화 실내화등저급품에 대해서는 태국 인도네시아등 동남아등지의 제3국합작진출을 통한 우회수출을 꾀하고있으며 새로 설립된 신발연구소와 연계, 기술개발을통한 고가품 하이테크슈즈생산에 힘쓸 방침이다. 한편 업계는 서울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로 국민들의 스포츠열기가 높아졌다는 판단아래 내수시장규모가 불어날 것으로 보고 다각적인 판매전략을 서두르고 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