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올 평균성장율 7.7%

아시아각국의 올해 실질성장률은 선진국평균의 거의 배라는 페이스로 경제가 계속 확대될 전망이다. 지역별로는 북의 감속, 남의 가속으로 대별돼, 평균7-8% 성장하는 ASEAN(동남아국가연합)이 동북아의 NICS(신흥공업국) 3개국 지역에 육박한다. 내년엔 최대수출시장인 미국에서 경기둔화가 예상돼 아시아각국의 경제성장은 모두 둔화될 것 같다. 다만 이번 미 대통령선거에서 공화당이 승리한 것은 낙관적인 요인이 될것이라는 견해가 높다. 아시아각국은 부시차기행정부가 레이건행정부의 계승이라고 보고있으며 미국이 보호주의로 기울어져 대미수출이 타격을 받을 우려는 일단 희박해 졌다고 판단하고 있다. 아시아 각국의 기대대로 부시차기행정부가 자유무역원칙을 견지하면 부시행정부탄생은 아시아경제에 있어 바람직한 것이되며 내년 이후에도 아시아지역은 선진국평균보다 높은 성장률을 지속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88년의 실질경제성장률 예상치의 평균치는 한국 대만 홍콩등 동북아 NICS는 8.2%로 전년의 12.3%를 크게 밑돌 것이나 ASEAN평균은 7.4%로 전년(5.8%)보다 상당히 높은 수준에 달할 것 같다. 동북아 NICS의 성장률둔화는 미국과의 무역마찰에 따른 통화가치의 상승등이 주요인이다. 한편 ASEAN은 1차산품가격의 상승 및 일본이나 NICS로부터의 투자증대가 성장률상승에 기여하고 있다. NICS/ASEAN을 합친 실질성장률 평균은 7.7%(전년 8.2%)가 될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선진국평균(IMF예상으로 3.9%)을 크게 웃돌 것 같다.아시아 각국/지역의 올해 실질경제 성장률예상(%, 괄호안은 전년) > 한 국 11 (12.2) 대 만 7.5 (11.04) 홍 콩 6 (13.6) > 싱 가포 르 10 (8.8) 태 국 9 (6.6) 말레이시아 7.4 (4.7) 인도네시아 4 (3.6) 필 리 핀 6.5 (5.05)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