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의, 자본재-기초산업 육성해야

국내산업의 생산력확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계를 중심으로 한자본재 부문의 육성과 석유화학및 철강등 기초소재쪽의 공급능력확대가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11일 대한상의는 생산력확충을 위한 투자촉진시책방향 건의에서 자본재산업중 가장 취약한 일반기계의 경우 전체자본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5%로 미국의 30%, 일본의 25%에 비해 크게 떨어지며 연간 40억달러의 무역적자를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생산기술면에서는 제작기술보다는 원천기술인 제품기술력이 약하며특히 개념설계, 기본설계및 종합시스팀설계등은 선진국의 30-40%수준에불과해 신제품 개발을 통한 경쟁력제고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최근 기업들이 원고를 극복하기 위해 투자에 부심하고 있는 공작기계의 NC(수치제어)율과 관련, 지난해말 현재 33.7%에 달하는 신장을 보인것은 사실이나 미국의 4분의1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그나마도 NC장치 및서보모터등 핵심부품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업용 원자재의 공급난도 심각해 기초소재, 석유화학, 섬유 및 제지등 주요부문의 경우 수요의 평균 55%가 확보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석유화학원료는 공급이 수요의 42.7%만을 충당하는데 그치고 있는 것으로 보고서는 전했다. 상의는 이같은 취약산업의 육성을 위해서는 공업입지의 원활한 공급및 신규참입제한의 완화 내지는 철폐와 함께 자금지원제도의 확충등 보다 실질적인 조치가 뒤따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