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업계, 유럽/일본등으로 시장다변화

업계가 강세통화지역인 일본, 유럽등지에의 수출을 늘려 "원고"쇼크를줄여가고 있다. 환율600원대의 수출전선에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은 시장다변화전략이며 대부분의 업계가 그 대상지역으로 일본, 유럽, 동남아등을 꼽고있고 새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공산권에의 진출에도 큰 기대를 걸고있다. 전자업계의 경우 자체브랜드제품등의 대일수출을 지난해보다 갑절가량 늘리고 있으며 자동차업계의 경우에도 설비능력이 늘어나는대로 일본과 유럽에의 수출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섬유, 철강, 신발, 타이어, 완구등 대미수출 비중이 전통적으로 컸던 업종들도 이미 오래전부터 달러화에 대한 원화절상을 예견, 강세통화권지역에의 수출을 착실하게 늘려가고 있으며 해외전시회개최, 해외공장건설, 쿼타규제지역 진출등 여러가지 전략으로 시장다변화를 뒷받침해 가고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