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 사회정화운동 민간체제 바람직

최근 존립여부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새마을운동과 사회정화운동은 정부의 간섭이 배제된 순수 민간기구로 존속해야 하며 국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에 의해 그 운동이 전개되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국내 경제, 사회의제 문제점을 분석, 대통령에 정책을 건의하기위해 구성된 대통령직속기관인 경제구조조정자문회의는 최근 우리나라의 국민운동에관한 공청회를 가진 끝에 정부주도에 의해 추진된 새마을운동과 사회정화운동은 획일화, 경직화등의 폐단을 노출시켜 왔으므로 개선이 불가피하다고 평가했다. 자문회의는 여론조사 결과 국민의 70%정도가 이들 국민운동의 체제 및 구성방식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전제아래 존속에 찬성하고있어 국민운동을 순수민간기구체제로 개편운영하고 정부의 간섭이나 정치성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법률제정등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향후 새마을운동의 방향은 새마을조직은 새마을지도자가 중심이 되는순수민간 자율조직으로 하고 사업내용은 정신개발운동에 중점을 두되 구성원이 희망하는 경우 환경개선과 소득증대사업을 병행토록 하며 추진조직은 중앙의 경우 새마을운동관련 단체장과 사회저명인사들로 구성된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를, 지방조직은 중앙협의회에 준하여 개편토록 해야한다고 제시했다.사회정화운동은 현조직을 지역조직 중심으로 대폭 정비하고(공공기관,학교조직등은 폐지) 민간중앙협의기구를 설립, 순수민간추진체제로 개편하며 명칭을 "문화시민운동" 또는 "밝은사회운동"등으로 긍정적, 발전지향적으로 변경하고 사업대상을 청소년선도, 유흥퇴폐업소 자율정화유도,준법 질서 책임등 문화시민의식 함양등에 두어야 한다고 자문회의는 제시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