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로 나선 이재명 성남시장(왼쪽부터)과 문재인 전 대표, 안희정 충남지사, 최성 고양시장이 6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오마이뉴스 본사에서 열린 오마이TV 주최 토론회에 앞서 손을 맞잡고 있다. 국회사진취재단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로 나선 이재명 성남시장(왼쪽부터)과 문재인 전 대표, 안희정 충남지사, 최성 고양시장이 6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오마이뉴스 본사에서 열린 오마이TV 주최 토론회에 앞서 손을 맞잡고 있다. 국회사진취재단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인 문재인 전 대표와 안희정 충남지사, 이재명 성남시장, 최성 고양시장이 6일 열린 두 번째 경선토론회에서 난타전을 벌였다. 문 전 대표와 안 지사, 이 시장은 “팩트부터 확인하라” “예의를 지키라” “무능한 상속자” 등 원색적인 용어를 서슴지 않았다.

이 시장이 먼저 포문을 열었다. 이 시장은 “문 전 대표는 법인세 인상에 대해 (복지재원 확보의) 가장 마지막 방법이라고 얘기한다”며 “경제 기득권자나 재벌, 사회의 온갖 기득권자가 문 전 대표에게 몰리는 것 같다. 일종의 기득권 대연정이 아니냐”고 비판했다. 이어 “과거 16조원 규모의 준조세 폐지 공약에는 법정부담금도 포함된 것 아니냐”며 “재벌개혁에 소극적”이라고 공격했다.
[민주당 2차 경선 토론] 문재인 "소득 높여 불평등 해소" vs  안희정 "임금 격차 줄일 것"
문 전 대표는 이에 “법정부담금을 폐지하겠다는 것이 아니다. ‘최순실 게이트’에서 보듯 준조세를 없애겠다는 것이고, 법정부담금은 별개”라며 “그 질문은 좀 유감스럽다”고 했다. 이어 “이 시장은 재벌 해체를 얘기하는데, 기득권자 일체를 다 타도하고 배제하는 것으로는 새로운 대한민국을 열어갈 수 없다”고 응수했다. 그러면서 “이 시장은 지난 토론회에서도 제 자문단에 모인 분 가운데 삼성 출신이 많다고 왜곡된 말을 했는데,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며 불편한 심기를 보였다.

안 지사는 이 시장에게 화살을 돌렸다. 안 지사는 이 시장이 재벌개혁 문제로 문 전 대표를 공격한 것에 대해 “상대를 재벌 편인 것처럼 몰아붙이는 것은 동지적 우애와 신뢰를 깎는다. 서로에 대한 예의를 지키자”며 “민주당에서 한솥밥을 먹고 민주주의 운동을 한 사람들로서 기본적인 것도 불신하는 태도는 앞으로 보이지 말자”고 일침을 가했다.

소득 불평등을 비롯한 양극화 문제에서도 세 주자는 견해차를 보였다. 문 전 대표는 “부족한 공공 일자리를 늘리고 공공부문 일자리의 정규직 전환에도 속도를 내겠다”며 “서민과 중산층의 소득을 높여 불평등을 해소하고 소득주도 성장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안 지사는 “노동시장의 구조적 문제로 양극화가 갈수록 심해진다”며 “노동개혁을 통해 임금 격차부터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부당한 감세를 철회하고 대기업 부담을 늘려 국민 가처분 소득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연정’을 비롯해 차기 정권의 개혁방법론을 놓고는 문 전 대표와 이 시장이 공동전선을 폈다. 문 전 대표는 “적폐청산에 동의하는 야권 세력과는 연정이 가능하다”며 “타협 때문에 적폐청산 원칙을 포기할 수 없다”고 못박았다. 문 전 대표는 여야 간 협치를 위해 ‘여·야·정 국정협의체’ 상설화를 제시했다. 이 시장은 “적폐세력·기득권세력과 손잡는 대연정을 하겠다는 분이 있는데, 발목 잡기를 피하려고 온몸을 내줄 수 없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협공을 받은 안 지사는 “의회정치의 가장 강력한 다수파와 대통령의 협치를 통해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어야 한다”며 대연정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손성태 기자 mrhan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