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어 주식회사가 ‘2022 대한민국 경영대상’ 혁신성장경영대상을 수상했다. 화이어는 노터치·노브러시 자동 세차 전문 기업으로 2021년 기술혁신부문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 2020년 국회 기술혁신부문 대상 수상, 국제표준 ISO9001과 ISO14001 등을 획득했다. 미국 오리언사에서 국제표준 인증도 받았다. 자동 세차 장치 특허 보유, 기술보증기금 실사를 통한 벤처기업 등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 전담 부서 인정, 자체 개발한 세제의 환경부 인증 등 우수한 기술력과 경쟁력을 검증받은 기업이다.
이뿐만 아니라 화이어의 ‘컴인워시’는 지난해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해 앱을 개발했으며, 앱 결제 이용 비율이 90%를 넘는 지점이 있을 정도로 고객 호응도 높다. 특히 컴인워시 앱은 단순한 결제 수단뿐만 아니라 고객의 다양한 혜택 및 정보를 알려주는 기능도 다양하게 제공해 최적의 고객 만족 서비스를 실현하고 있다.
컴인워시는 트렌드를 발 빠르게 반영해 다양한 운영 프로그램을 휴대폰으로 연동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본사에서 전국 지점 상황을 파악하고 문제가 있을 때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 시간 각 지점과 긴밀하고 원활하게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론칭한 지 4년여 만에 누적 계약 200대를 돌파하며 눈부신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컴인워시는 지난 6월10일 서울 강남본점을 열었다. 양석원 대표(사진)는 “앞으로도 화이어는 끊임없이 기술력과 경쟁력을 업그레이드하며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노터치·노브러시 자동 세차 기업으로 발전해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와우플래닛(대표 김애니은희·사진)이 ‘2022 대한민국 경영대상’ 기술혁신경영대상을 수상했다.콘텐츠 전문기업 와우플래닛은 웹3.0시대에 블록체인과 크라우드펀딩의 체계적인 투자 모형을 기반으로 크리에이터 모두에게 기회가 되는 플랫폼을 론칭할 예정이다. 스토리 아이디어로 콘텐츠를 제안하고, 경험 많은 멘토의 도움과 서포터의 투자를 유도해 경쟁력 있는 슈퍼IP로 완성해 낼 수 있도록 돕는 콘텐츠 인큐베이팅 플랫폼을 기획하고 있다.이처럼 와우플래닛은 애프터 코로나 시대 K콘텐츠가 세계 중심이 되고 있는 글로벌 시장의 차세대 한류를 선도하며, 메이저 플랫폼으로의 동반 성장을 추진하는 혁신 활동을 인정받았다.와우플래닛은 2014년부터 영화 ‘귀향’ ‘상의원’, 뮤지컬 ‘캣츠’ 등 다양한 콘텐츠 제작 배급 및 유통을 통해 국내 톱5 배급사로 평가받고 있다.소니픽처스, 넷플릭스, 레전더리엔터테인먼트, 폭스 등 120개 이상 글로벌 프로덕션 스튜디오와 파트너사 제휴를 맺어 K콘텐츠의 IP 비즈니스를 확장해가고 있으며, 그동안의 콘텐츠 제작 및 유통 노하우를 담은 콘텐츠 인큐베이팅 플랫폼을 선보일 예정이다.김애니은희 와우플래닛 대표는 “글로벌 파트너들과 협업해 세계 시장 진출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박미옥 기자 histmo@hankyung.com
청운대학교(총장 이우종·사진)가 ‘2022 대한민국 경영대상’ 인재경영대상을 2년 연속 수상했다.청운대는 1995년 학교법인 혜전학원에서 충남산업대로 출발했다. 1998년 지금의 청운대로 교명을 바꾸고 2013년 인천캠퍼스를 개교했다. 개교 당시 8개 학과, 730여 명으로 시작한 청운대는 충남 홍성군과 인천 미추홀구에 7개 단과대학, 33개 학과(전공), 6000여 명의 재학생을 두고 있다.홍성과 인천에 멀티캠퍼스를 구축해 서해안의 거점 대학으로서 국가적 사명인 창의 인재 양성에 앞장서고 있다. 글로벌, 창의, 실용과 함께 인성을 갖춘 인재를 발굴해 인의(仁義)·예지(禮智)·신애(信愛)의 창학정신을 실현하고 있다. 청운대는 학생이 행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마음껏 자신의 꿈을 펼칠 수 있도록 실사구시의 맞춤형 교육을 통해 ‘학생 성공시대’를 펼쳐가고 있다. 이를 위해 청운대만의 특성화 교육으로 실무 인재를 양성하며, 취업과 창업 연계 과정에서도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세계 70여 개 대학 및 기관과 학생·학술 교류 협약을 맺었으며, 홍성 및 인천캠퍼스의 평생 교육 체제 확립으로 국내외 학생, 산업체 근로자, 성인 학습자 등 폭넓은 학생층에 대응해 다양한 학업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지역의 거점대학으로서 점차 침체하는 지역 활성화를 위해서도 앞장서고 있다. 다양한 수업 연계 프로젝트, 민·관·학 협력 사업으로 대학과 지역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강구하고 있다.청운대는 대학의 경쟁력 강화와 생동감 넘치는 캠퍼스를 만들기 위해 새롭게 운동부를 창단하고 제2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이금아 기자 shinebijou@hankyung.com
㈜인크레더블(대표 손원익·사진)이 ‘2022 대한민국 경영대상’ 혁신성장경영대상을 2년 연속 수상했다. 인크레더블은 식물성 재료를 사용한 식품 생산으로 탄소배출을 줄이고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있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푸드테크 기업이다. ‘FOR US, FOR EARTH’라는 슬로건으로 ‘우리의 건강은 곧 지구의 건강’이라는 철학을 담아 인류와 지구가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식품으로 현대인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선도하고 있다.대표적으로 2015년 내놓은 국내 최초 프리미엄 식물성 그래놀라 브랜드 ‘그라놀로지’가 있다. 밀가루, 버터, 정제 설탕이 들어가지 않으며 유전자 변형, 합성 착향료, 식품 보존료, 감미료 등 화학첨가물을 함유하지 않은 그래놀라로 현대인의 균형 있는 영양을 위한 아침 대체식이다.국내 업계 최초로 할랄 인증, 식품안전경영시스템 FSSC22000 인증을 받았으며 2020년부터 그래놀라 종주국인 미국 아마존 역수출에 성공한 국내 대표 ‘K그래놀라’다.올해 경기 화성시에 1만4958㎡ 규모의 공장을 준공했으며 연구개발(R&D), 원료 소싱, 상품 개발, 태양열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ESG 스마트 제조와 자체 유통망을 활용한 자체 브랜드 판매까지 ‘올-인-원-스톱(all-in-one-stop)’ 수직 계열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그래놀라뿐만 아니라 비건 식품 공장으로서 아시아에서 가장 큰 생산시설을 구축, 대량 생산 자동화 시스템을 갖췄다. 이곳에서 그래놀라뿐만 아니라 대체육, 대체유, 대체란, 대체 베이커리, 건강기능식품, HMR, CMR 등을 직접 제조하며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식품을 개발 중이다.이금아 기자 shinebijo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