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썸의 실소유주 이정훈 전 빗썸홀딩스·빗썸코리아 이사회 의장이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3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4부(부장판사 강규태)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 등 혐의로 기소된 이 전 의장의 1심 선고공판에서 무죄를 선고했다.
이 전 의장은 검찰로부터 2018년 10월 김병건 BK메디컬그룹 회장의 약 4000억원 빗썸 매입 계약 때 'BXA' 코인 상장을 명목으로 인수대금 일부(당시 환율 1120억원)를 편취했다는 혐의를 받은 바 있으나 재판부는 검찰이 제시한 증거만으로 이 전 의장이 코인 상장을 약속했다고 볼 수 없다고 봤다.
더불어 이날 재판부는 김 회장 등 피해자의 진술이 번복됐던 점 등을 근거로 신빙성이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이 전 의장이 김 회장에게 빗썸 인수 및 공동경영을 제안한 것이 기망 행위라는 검찰 측 공소사실도 상장 확약 사실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배척했다.
재판부는 "피고인 발언이 코인을 상장해 주식매매 대금을 충당할 수 있다고 해석된다고 해도 피해자의 가상화폐 경력과 관련 지식이 상당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피해자가 피고인의 말을 듣고 착오에 빠질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며 "검사가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공소사실과 같이 기망 행위로 인한 착오에 빠져 주식매매 대금을 처분했다고 인정할 수 없다"고 판시했다.
한편 빗썸은 "법원의 판결은 존중한다"라며 "빗썸은 전문경영인 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정훈 전 의장은 빗썸의 경영에 일체 관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재판의 결과와 관계없이 앞으로도 빗썸은 더욱 편리하고 안전한 거래를 위해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사진=셔터스톡
<블록체인·가상자산(코인) 투자 정보 플랫폼(앱) '블루밍비트'에서 더 많은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가상자산(암호화폐) 파생 상품 수요가 급증하면서 비트코인과 가상자산 시장이 부활하고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22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파생상품 거래소 데리비트 데이터를 인용해 "최근 비트코인 옵션 미결제약정이 급증했으며, 계약 건수도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라고 보도했다.노엘 애취슨 크립토 이즈 매크로 나우 저자는 "비트코인 미결제약정과 옵션 거래량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새로운 시장 진입자들이 늘어나고 있음을 시사한다"라고 설명했다.현재 가상자산 파생상품 거래량은 현물 등 전체 가상자산 거래량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크리스 뉴하우스 GSR 파생상품 트레이더도 "옵션 시장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폭발했다"라며 "정말로 다른 대형 기업들이 옵션 시장에 뛰어들기 시작한것 같다"라고 밝혔다.루크 스트리저스 데리비트 최고 상업 책임자는 "최근 은행 붕괴 위기가 이어지면서 높은 시장 변동성을 노린 트레이더들이 시장에 참여한듯 하다"라고 말했다. 이영민 블루밍비트 기자 20min@bloomingbit.io
리플(XRP)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소송에서 승리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위기가 계속되면서 엄청난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22일(현지시간) 핀볼드는 "리플과 SEC의 소송에서 새로운 의견들이 나오면서 XRP도 저항선을 돌파했다"라고 보도했다.제임스 필란 변호사가 지난 20일 트위터에서 공개한 서류에 따르면 마이클 와일즈 뉴욕 남부 연방 파산 법원 판사는 SEC의 모호한 주장을 기각했던 별도 법적 사건들을 언급했다.리플이 주장했던데로 디지털 자산에 대한 증권관련 지침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혼란과 불확실성이 발생한다는 것이다.리플 최고경영자인 브래드 갈링하우스도 "SEC와의 소송은 올해 상반기 내 해결될 것"이라고 낙관했다.라이언 셀키스 메사리 최고경영자(CEO)도 리플을 공개 지지했다. 그는 "과거 나는 여러가지 이유로 리플에 비판적이었지만, 지금은 예전보다 그들의 생각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아졌다"라며 "리플은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소송에서 승리해야 한다"라고 밝혔다.코인마켓캡 기준 리플은 지난 24시간동안 약 20.54% 상승해 0.45달러 선에 거래되고 있다. 이영민 블루밍비트 기자 20min@bloomingbit.io
가상자산(암호화폐) 기업들이 실버게이트, 시그니처뱅크 붕괴 이후 스위스 친 크립토 은행들로 눈길을 돌리는 것으로 나타났다.22일(현지시간) CNBC는 다수 관계자들의 발언을 인용해 "글로벌 가상자산 기업들이 가상자산 친화적인 스위스 은행들로 눈을 돌리고 있으며, 은행 서비스 관련 요청이 빗발치고 있는 상황"이라고 보도했다.한 사설 스위스 은행의 고문은 "실버게이트와 시그니처뱅크가 이번달 문을 닫은 후 엄청난 수의 가상자산 기업들의 요청이 계속되고 있다"라고 말했다.스위스 가상자산 은행 중 하나인 시그넘의 도미닉 캐슬리 최고 마케팅 책임자는 "지난 몇 주간 은행업계에 엄청난 일들이 발생되면서 다양한 해외 가상자산 기업들의 온보딩 문의가 크게 늘어났다"라며 "스위스와 싱가포르에 위치한 시그넘의 위치가 기업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온 것으로 보인다"라고 해석했다.현재 시그넘은 스위스 은행 라이센스와 싱가포르 자본시장 서비스 라이센스를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다.다른 관계자도 "미국 고객들로부터 엄청난 규모의 자금이 유입됐다"라며 "유럽 기반 기업이 아니더라도 은행 서비스를 확보하기 위한 요청이 늘어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영민 블루밍비트 기자 20min@bloomingbi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