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A 수혜국에서 제공국가로 전환…외환·금융위기 극복하고 결실
1인당 GNI 3만달러·인구 5천만명 이상 '3050클럽' 7번째로 진입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사상 처음으로 3만달러를 돌파하면서 선진국 반열에 올라섰다.

인구 5천만명 이상이면서 1인당 GNI가 3만달러 이상인 '3050클럽'에 7번째로 진입했다.

2006년(2만795달러)에 2만달러를 넘은 지 12년 만에 3만달러에 진입했다.

1인당 GNI 3만달러에는 전쟁 후 폐허 속에서 압축적으로 경제성장을 일궈 온 전 국민의 피땀 어린 노력이 담긴 것으로 평가된다.

한국전쟁 직후인 1953년 우리나라는 1인당 국민총소득이 67달러에 불과한 최빈국이었다.

국가 경제 기반이 부족한 상태에서 소득 증가는 더디기만 했다.

1977년 1천47달러를 달성해 1천달러를 넘기까지 24년이나 걸렸다.
[국민소득 3만불시대] 전쟁폐허 속 '67달러' 최빈국서 선진국대열로
1인당 GNI 1만달러를 넘은 것은 17년이 더 지난 1994년(1만168달러)이었다.

한국은 1인당 GNI가 1만3천77달러를 기록한 1996년엔 OECD에 29번째 회원국으로 가입하며 선진국으로 향하는 대로에 올라타는 듯 했다.

그러나 곧이어 외환위기를 맞으며 한국 경제는 오히려 뒷걸음질했다.

1998년에는 1인당 GNI가 7천989달러까지 하락했다.

구조조정 등의 아픔을 딛고서야 다음 해 1만282달러를 기록하며 어렵게 1만달러 대열에 복귀했다.

2000년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개발원조위원회(DAC)의 ODA 협력국 명단에서 제외됐다.

공적개발원조(ODA) 수혜국 지위를 벗어나 원조하는 국가 대열에 합류한 것이다.

현재 원조하는 국가 중 일부가 2차 대전의 이후 미국 등으로부터 원조를 받은 사례가 일부 있기는 하지만 최빈국 수준의 원조 수혜국이 원조하는 국가로 전환한 것은 사실상 한국이 유일하다.
[국민소득 3만불시대] 전쟁폐허 속 '67달러' 최빈국서 선진국대열로
이후 2006년에는 한국의 1인당 GNI가 2만달러를 넘어섰지만 3만달러로 가는 길도 순탄치만은 않았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2008∼2009년 2년 연속 1인당 GNI가 쪼그라들었다.

특히 2009년에는 1만8천256달러까지 떨어져 2만달러 선이 붕괴하기도 했다.

2010년부터는 2015년 한 해를 제외하고는 1인당 GNI가 꾸준히 성장했으며 지난해 마침내 3만달러를 돌파했다.

한국은 OECD 회원국 가운데 22번째로, 인구 5천만명 이상인 국가 중에서는 전세계 7번째로 3만달러를 달성했다.

한국의 1인당 GNI가 2만달러에서 3만달러로 진입하는 데 걸린 기간은 12년이다.

미국(9년), 영국(11년)보다는 길었지만, 프랑스·이탈리아(14년)보다는 짧았다.

한국은 앞서 1만 달러에서 2만 달러로 넘어갈 때도 12년(1994년∼2006년)이 걸렸다.

1인당 국민총소득 3만달러 진입은 한국이 선진국대열에 들어섰음을 보여주는 근거로 여겨진다.

다만 경제 성장세를 이어가지 못하면 3만달러는 언제든 깨질 수 있다.

스페인, 그리스, 키프로스처럼 한때 1인당 GNI 3만달러를 넘었다가 2만달러대로 떨어져 회복하지 못하는 국가도 있다.

독일은 2만달러를 달성한 지 6년만인 1996년 3만 달러를 넘었으나 1998년 2만달러대로 추락했다가 2004년에야 3만달러대로 복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