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방역 인력 감소…교육 부문은 증가"
재작년 공공부문 일자리 287만개…증가세는 2년째 둔화
재작년 정부와 공기업 등 공공부문 일자리 규모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다만 증가세는 2020년 정점을 찍고 2년째 둔화했다.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22년 공공부문 일자리 통계'에 따르면 재작년 공공부문 일자리는 전년보다 3만9천개(1.4%) 증가한 287만8천개로 나타났다.

2016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은 수준이다.

2016년 238만4천개던 공공부문 일자리는 2019년 260만2천개, 2020년 276만6천개, 2021년 283만9천개로 늘었다.

전년 대비 증가폭은 2019년(15만1천개·6.1%), 2020년(16만4천개·6.3%)에 컸다가 2021년(7만3천개·2.6%)부터 2년 연속 둔화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2021년과 비교하면 재작년에 코로나19와 관련한 방역 인력 등의 일자리가 줄었다"며 "학교가 정상화하면서 교육 서비스업 일자리는 늘었다"고 말했다.

총취업자 수 대비 공공부문 일자리 비율은 10.2%로 전년보다 0.2%포인트 줄었다.

2016년 이래 처음 감소한 것이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일반정부 일자리는 246만4천개로 전년보다 3만6천개(1.5%) 증가했다.

공기업 일자리는 전년보다 3천개(0.7%) 늘어난 41만4천개로 집계됐다.

일반정부 가운데 정부기관 일자리는 219만4천개다.

공무원이 145만9천개를 차지해 비공무원(73만6천개)의 2배 수준으로 많았다.

전년보다 공무원 일자리는 3만개 늘고 비공무원 일자리는 4천개 줄었다.

재작년 공공부문 일자리 287만개…증가세는 2년째 둔화
성별로는 규모 자체는 남성 일자리가 많지만 여성 일자리의 증가 폭이 컸다.

남성 일자리는 148만9천개(51.7%)로 여성 일자리 138만9천개(48.3%)의 1.07배 수준이었다.

전년과 비교하면 여성 일자리가 3만6천개 늘어 남성 일자리(4천개)보다 많이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76만6천개로 26.6%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30대(24.7%), 50대(24.1%), 29세 이하(15.9%), 60세 이상(8.6%) 순이었다.

전년 대비 50대(1만7천개), 30대(1만5천개), 40대(8천개) 등에서 일자리가 증가했고 29세 이하(-2천개)는 줄었다.

산업별로는 교육 서비스업에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공공행정, 국방·사회보장 행정이 139만1천개로 전체의 48.3%를 차지했다.

교육 서비스업(27.2%), 보건업·사회복지 서비스업(4.0%) 순으로 뒤를 이었다.

전년과 비교하면 교육 서비스업(1만9천개)이 가장 많이 늘었다.

공공행정, 국방·사회보장 행정(8천개),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6천개) 등도 증가했다.

일자리는 근로자가 점유한 고용 위치로 취업자와는 다르다.

예컨대 A 정부기관과 B 공공기관 업무를 같이 하는 경위 취업자는 1명이나 일자리는 복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