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파견업체인 L사는 이마트의 서울·수도권 30개 점포에 가공식품 부문 진열·운반·재고 정리 등을 담당하는 인력을 파견, 관리하고 있다. 점포당 파견 인원은 매출 규모에 따라 50~100명 수준이다. 이 회사는 지난 4월 이후 강제 휴무가 적용된 15개 점포 인원을 5~10명씩 줄였다.

L사에서 인력관리를 총괄하는 이모 부장은 “전체적으로 운용 인원이 5%가량 줄었다”며 “앞으로 휴무 점포가 늘어나면 인원도 그만큼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운용 인력의 상당수는 주부와 휴학생, 구직 활동 중인 20~30대, 40~50대 퇴직자들”이라며 “직종 특성상 결원이 수시로 발생하는데 이를 충원하지 않은 채 인력을 줄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부장은 “취업 애로 계층인 이들에게 대형마트는 상대적으로 근무환경이 좋아 인기 있는 일터”라며 “규제에 따른 매출 감소로 그만큼 일자리가 줄어 안타깝다”고 전했다.

최근 두 달간 월 2회 휴무, 영업시간 제한(밤 12시~오전 8시) 등의 영업규제로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대형마트 3사에서 줄어든 일자리는 3056개에 달한다. 이 기간 이마트가 3곳, 홈플러스와 롯데마트가 1곳씩 점포를 새로 내 신규점으로 상당수 인력이 이동 배치된 점을 감안하면 4000개 이상의 일자리가 감소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지난달 27일 대형마트 3사의 강제 휴무 점포 수가 218개임을 감안하면 점포당 약 20명이 일자리를 잃은 것이다.

최근 두 달 사이 이마트에선 협력업체 판촉사원 182명과 용역직원 657명이 줄어들었다. 홈플러스에선 시간제 근로자가 1206명 감소했고, 롯데마트에서도 협력사원 259명과 용역직원 253명이 줄었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협력업체들은 매출 규모에 따라 점포에 파견하는 판촉사원 수를 정한다”며 “휴무에 따른 영업시간 축소에 불황까지 겹쳐 매출이 크게 감소하자 그만큼 파견사원 수를 줄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향후 영업규제 확대로 휴무 점포 수가 늘어나면 그만큼 일자리 감소폭도 커질 전망이다. 오는 10일 휴무점은 이마트 98곳, 홈플러스 104곳, 롯데마트 68곳 등 270곳이다. 지난달 27일에 비해 52곳 늘어난다. 업계에서는 대형마트 3사뿐 아니라 기업형슈퍼마켓(SSM)과 메가마트 탑마트 코스트코 등을 모두 포함하면 영업규제로 인해 줄어드는 일자리가 1만개를 넘을 것이라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SSM업체들은 정확한 감소 인력을 밝히지 않았지만 용역직원을 줄이고 결원의 일부만 채용하는 방식으로 인력을 감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슈퍼 관계자는 “용역 배달 기사를 50여명 줄였고 파트타임(시간제) 직원은 고용을 유지하되 근무시간을 줄이는 ‘잡셰어링’을 시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파트타임 직원 일부의 근무시간이 평균 12%가량 줄었다”며 “급여 수준이 낮은 파트타임 직원들은 임금이 더 줄어들어 생계에 곤란을 겪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승창 항공대 경영학과 교수는 “대형마트와 SSM에 입점한 상인들도 규제에 따른 매출 감소로 고용을 줄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기존 인력을 재배치하고 점포 인력을 최소화하는 과정에서 대형마트와 SSM이 창출해온 신규 고용이 위축되고 있는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송태형 기자 toughl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