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들이 느끼는 실질적인 세(稅) 부담을 파악하는 데 가장 적절한 지표가 조세부담률과 국민부담률이다.

조세부담률은 총 조세 징수액을 명목 국내총생산(GDP)으로 나눈 것이고 국민부담률은 조세와 국민연금보험료,의료보험료 등 각종 사회보장 기여금 납부액을 모두 합한 금액을 명목 GDP로 나눈 것이다.

조세부담률이나 국민부담률이 증가하고 있다면 전반적인 세 부담이 늘어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의 조세부담률은 1990년 17.8%에서 2006년에는 20.5%로 늘어났다.

1990년에서 97년까지는 거의 늘어나지 않다가 외환위기 이후 급격히 증가했는데 이는 사회안전망 확충을 위한 복지비 지출 증가,교육비 및 국방비 증가 등으로 재정 지출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한국의 조세부담률은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와 비교해 크게 높은 수준이 아니다.

2004년 기준 한국의 조세부담률은 19.5%로 미국(18.8%)과 일본(16.5%)보다는 다소 높지만 OECD 평균치(26.5%)보다는 아직 낮다.

국민부담률도 24.6%로 OECD 평균인 35.9%보다 낮다.

그러나 외환위기 이후 조세부담률이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고 인구 고령화로 사회보장 기여금도 급속히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는 세 부담이 다른 OECD 국가들과 비슷한 수준으로 급증할 우려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