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자치도를 향한 제주 도민들의 관심은 그리 뜨겁지 못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전국에서 제주도에만 적용되는 특별법에 의해 7월 출범하는 지방자치 체제로, 국가 존립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는 국방과 외교권을 제외한 모든 권한의 지방 이양을 모토하고 있어 연방국가의 주(州)에 준하는 특별한 지위를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5.31 제4회 전국동시 지방선거에 표출된 제주 도민들의 관심도로 볼 때 그 여정이 그리 순탄치만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5.31선거 투표율이 평균 67.3%로 4년전 제3회 지방선거 당시의 68.9%를 1.6%포인트나 밑돌아 초대 특별자치도지사와 도의원에 대한 관심이 기대에 못미치기 때문이다.

물론 여기에는 특별자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4개 시.군의 자치권을 없애면서 4개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 선거가 제주에서는 사라지게 된 점이 중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더욱이 3명의 제주지사 후보들이 모두 거대 정당의 공천과정에서 도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며 정치에 대한 회의감을 갖도록 한 점이 투표율 하락에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나라당 현명관 후보는 중앙당 '영입'을 둘러싼 '낙하산 공천' 과정이 그리 매끄럽지 못했고, 무소속 김태환 후보도 한나라당 탈당→무소속→열린우리당 입당.탈당 등의 소신없는 정치행보로 약점의 빌미를 자초했다.

열린우리당 진철훈 후보는 김태환 후보 영입에 대해 중앙당에 항명성(?) 반발을 하며 결국 공천권을 따내기는 했으나 중앙당과 대다수 당원들의 입지를 좁히는 역작용을 일으켰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와함께 제주지사 후보들이 공히 안고 있는 실현 가능성이 희박한 공약도 '정치인은 누구든 마찬가지'란 회의감을 불렀다.

열린우리당 진철훈 후보의 '관광객 전용 카지노 레저산업 육성', 한나라당 현명관 후보의 '항공료 50% 인하', 무소속 김태환 후보의 '중장기 관광개발사업을 통한 청년 일자리 2만개 조성' 공약이 지방선거시민연대나 경실련의 헛공약에 포함된 것이 일례이다.

하지만 이번 제주 선거에서는 다른 지역에는 없는 5명의 교육의원을 주민 직선으로 선출하게 돼 전국 어느 곳에도 뒤지지 않은 제주의 뜨거운 교육열을 반영하면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제주연합뉴스) 김승범 기자 ksb@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