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판까지 예측을 불허했던 미국 대통령 선거가 지난주 끝났다. 누가 미국의 대통령이 되느냐에 투표권도 없는 다른 나라 사람들이 그토록 관심을 가졌던 건 세계 질서와 국제 경제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이 그만큼 절대적이기 때문이다. 특히 재선에 성공한 부시 대통령이 대(對)테러 전쟁과 함께 북핵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이냐는 한국의 안보와 경제에 직결돼 있다. 집권 2기를 준비하는 부시 대통령의 일거수 일투족에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는 이유다. 이번주에는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칠 몇가지 '재료'들이 있다. 재정경제부가 지난주말 큰 골격을 내놓은 집과 땅에 대한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종부세)의 구체적인 세율 체계를 11일 발표한다. 주택 종부세는 갖고 있는 집값이 국세청 기준시가로 9억원(시가 10억원 정도)을 넘는 사람에게 매기기로 한 만큼 이들에게 얼마만큼의 세금 부담을 지울지가 초점이다. 집부자 땅부자가 아니더라도 이번에 주택 재산세 체계가 완전히 변경됨에 따라 집을 갖고 있는 모든 사람의 세부담도 바뀌기 때문에 재경부의 재산세율 발표에 눈길이 쏠린다. 주택 거래와 관련된 부동산 투기 규제가 이번주 중 일부 해제될지도 관심이다. 취득·등록세 등 거래세를 실거래가로 내야 하는 주택거래신고지역이나 양도소득세를 실거래가 기준으로 내는 투기지역 등을 정부가 이번주에 선별적으로 풀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투기지역 지정으로 부동산 투기는 어느 정도 잡았으나 실수요자들의 정상적인 거래마저 위축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했다는 비판에 대한 정부의 보완 조치가 주목된다. 최근 한달동안 달러 당 1천1백50원에서 1천1백10원선으로 급락한 환율 변동에 브레이크가 걸릴지도 관심사다. 쌍둥이 적자(무역적자+재정적자)를 줄이기 위한 미국 부시 정부의 달러화 약세 기조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여 달러 당 1천1백원선도 깨질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오는 11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운영위원회에서 콜금리를 조정할지 여부도 지켜봐야 한다. 열흘째 계속되고 있는 국회의 '개점 휴업'이 언제 끝날지 모를 일이다. 여야가 툭하면 싸우고 일 안하는 게 어제 오늘 일은 아니지만 여야가 싸우는 와중에 경제·민생관련 법안들이 졸속 처리되거나 미뤄질 공산이 크다는 점이 걱정이다. 지난 4일부터 시작됐어야 할 상임위별 새해 예산안 심의는 무기 연기됐고,내수를 살리기 위한 '한국판 뉴딜정책'의 근간이 될 민간투자법 개정안이나 비정규직보호법안 등엔 먼지만 쌓여가고 있다. 경제부 기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