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절반 이상이 산업기밀정보의 유출로 인한 피해를 경험한 적이 있지만 이에 대한 대응은 매우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지방중소기업청이 중소.벤처기업 346개사를 대상으로 산업기밀 유출문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51.9%가 산업기밀정보 유출로 인해 시장점유율 하락, 매출 감소 등의 피해를 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경험상 우리기업의 정보를 가장 활발하게 수집하는 국가로는 응답자의 82.7%가 중국을 꼽았으며, 다음은 일본(38.1%), 미국(21.2%), 대만(19.5%) 등의 순으로 대답했다. 기술 유출로 인한 피해를 알게 된 계기에 대해서는 '경쟁사의 유사제품 개발'을 통해서라는 응답이 64.8%로 가장 많았고 핵심인력의 사직 및 경쟁사 이직(31.3%), 사내정보의 외부 유통(26.7%) 등이 각각 뒤를 이었다. 하지만 산업기밀 유출에 대해 어떻게 대응했느냐는 질문에는 '아무런 조치없이 지나갔다'는 응답이 49.5%에 달했고, '고소.고발'하거나 '손해배상청구'했다는 응답은 각각 16.0%, 13.0%에 그쳤다. 기밀유출을 막기 위해 현재 도입하고 있는 보안관리체계는 입사시 비밀엄수계약(70.6%), 거래업체와의 비밀유지계약(65.9%), 퇴사시 비밀유지 및 경쟁업체취업금지서약(53.9%) 등 주로 약속에 의한 것이 많았다. 그밖에 정기적 패스워드 교체 및 디스켓 종합관리(49.0%), 카드키 사용(48.9%), 방화벽(Firewall)설치 (38.2%)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향후 1년내 도입하려는 보안관리체계로는 보안등급부여 등 문서관리시스템(42.7%), 보안관리 담당부서.담당자 지정(37.7%), 보안관리규정.지침 마련(36.8%), 정례적인 보안관리교육.점검(32.5%) 등을 꼽았다. 반면 CCTV(51.5%), 보안서비스업체와의 계약(40.8%) 등은 응답업체의 절반 가량이 도입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산업기밀 유출사고가 발생되는 주요 원인으로는 일선담당자의 보안의식 부족(31.3%), 개인적인 이익추구(27.4%), 관리.감독체계의 허술(11.6%) 등이 지적됐다. 산업기밀을 '유출시킨' 혹은 '유출시켰을 것'으로 의심되는 사람은 퇴직사원(66.0%)이 가장 많이 꼽혔고, 경쟁업체 종사자(22.8%)와 협력업체 직원(17.3%)이 그 뒤를 이었다. (서울=연합뉴스) 김희선기자 hisunny@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