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1일 오전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주재로비공개 안보관계장관회의를 열어 대미(對美) 파병협의단과 2차 이라크 조사단의 귀국 보고를 토대로 이라크 추가파병 세부계획을 집중 조율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특히 파병 규모와 관련, 일단 `3천명 파병안'을 중심으로 논의하되 국익과 국내여론, 전통적인 한미동맹관계 등을 감안해 경우에 따라서는 이보다더 늘리는 방안도 배제하지 않는 등 `완전 백지'상태에서 재검토할 방침인 것으로알려졌다. 그러나 당초 미국측이 한국군 파병지역으로 거론했던 이라크 북부 모술의 경우미 행정부가 이미 미 해병대를 보내기로 발표한데다 현재 모술에 주둔중인 1만8천명의 병력을 한국군으로 대체하기가 여의치 않아 사실상 파병후보지에서 배제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미국은 당초 모술에 주둔중인 미101공중강습사단을 한국군을 중심으로 한 다국적군으로 교체하길 희망했으나 파병을 약속했던 국가들 중 이 나라 저나라 다 빠지고, 한국만 남은데다 1만8천명의 병력을모두 한국군으로 채울 수 없는 노릇이어서 사실상 포기한 것 같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치안이 불안한 모술 대신 비교적 안정된 이라크 남부 나시리야나 바스라, 173공정여단 작전구역인 북부 키르쿠크, 82공정사단 구역인 서부 하디사 등제3의 지역을 대안으로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날 안보관계장관회의 결과를 토대로 오는 17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미연례안보협의회(SCM)에 참석하는 도널드 럼즈펠드 미 국방장관과 파병 규모와 시기등을 협의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이번 SCM에서 파병 규모와 부대 성격 등에 대해서는 최종 결정을 내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라종일(羅鍾一) 청와대 국가안보보좌관이 전했다. 라 보좌관은 `미국측이 전투병 5천명을 요구했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 "미국이애초 우리에게 요구한 것은 3천명 수준의 1개 여단이며 그것도 문건도 아닌 구두요청에 그치는 등 확실한 제안이 아니었다"면서 "대미협상단은 그 수준에서 1차 협의를 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이라크 파병 동의안의 국회 제출 시기에 대해 "미국은 물론, 이라크 임시통치기구, 유엔 등과 협의를 해야 한다"며 "아직 시기는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희상(金熙相) 국방보좌관은 파병 규모를 둘러싼 한미간 시각차에 대해 "이번대미협상단이 우리의 최종안을 갖고 미국을 방문한 것은 아니었다"면서 "따라서 미국측 입장을 들었으니까 이제부터 구체적인 내용을 논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 보좌관은 그러나 "공병도 군의 입장에서는 전투병이 될 수 있고, 동티모르에간 평화유지군도 알고 보면 다 특전사"라면서 "따라서 부대 성격보다는 현지에 가서무슨 임무를 수행하는지가 중요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른 관계자는 파병 시기에 대해 "국회조사단이 이달말 귀국할 예정이고 국회파병동의안 처리 일정 등을 감안하면 빨라야 내달 중순 이후가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한편 럼즈펠드 국방장관은 이번 방한 때 청와대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을 방문,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의 파병관련 입장이나 친서를 전달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어 주목된다. (서울=연합뉴스) 조복래기자 cbr@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