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보호위원회에 대한 23일 국회 정무위 국감에서는 자살사이트와 인터넷윤락 등 청소년 대상 범죄 대책과 관련해 의원들의 추궁과 제안이 이어졌다. 민주당 이훈평(李訓平) 의원은 "청소년의 36.6%가 자살 충동을 느끼고 있고 작년 한해 405명의 청소년이 자살을 했다"면서 "특히 작년 자살자 중 163명이 비관자살인데 국가 차원의 자살예방센터를 두는 것이 어떠냐"고 제안했다. 이 의원은 또 청소년 대상 음란물 범람과 관련, "메신저나 P2P 프로그램 설치시부모 동의를 받도록 하고 미국의 `어린이 P2P 포르노보호법'과 같은 법 제정을 통해청소년유해 매체를 규제해야한다"고 말했다. 같은 당 조재환(趙在煥) 의원은 "성매매 경로 조사에 따르면 인터넷 채팅이 전체의 58.7%를 차지했다"면서 "특히 청소년들이 운영하는 불법사이트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대처방안은 무엇인가"라고 따졌다. 통합신당 박병석(朴炳錫) 의원은 "현재 전국 3만6천여개 다방 중 티켓다방, 즉윤락을 하는 다방의 수가 무려 50%를 넘었고, 티켓다방에 고용된 여종업원 70%가 청소년"이라며 "한국의 정치가 바로 이러한 문제에 좀더 집중하고 개선을 위해 많은힘을 쏟아야한다"고 주문했다. 한나라당 임진출(林鎭出) 의원은 "경미한 청소년 성범죄자에 대해 신상공개를면제해주는 대신 심리치료, 상담을 통해 성수요자를 감소시키는 존스쿨제도를 확대할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승희(李承姬) 청소년보호위원장은 "자살실태와 예방책에 대해 논의할 세미나를 열고 자살방지센터도 다루는 등 현실적이고 체계적인 대책 수립에 나서겠다"고 약속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재현기자 ja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