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기자실인 춘추관이 2일부터 `개방형 등록제'로 전면 전환됐다. 춘추관이 이날부터 일정요건을 갖춘 모든 언론사의 출입을 허용함에 따라 출입기자 숫자는 기존 49개사, 87명에서 3배가량 많은 164개사, 274명으로 늘어났다. 이에 맞춰 춘추관 운영방식도 변경됐다. 특히 이날 오전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참여정부 출범 100일' 기자회견이 열린 터라 `춘추관 개방'으로 늘어난 기자들과 청와대 관계자 등이 뒤섞여 춘추관은 북새통을 이뤘다. 춘추관 신규 출입기자들은 오전 9시께부터 몰려들기 시작했으며, 안내데스크에마련된 안내문과 출입증을 받아 대부분 노 대통령의 기자회견이 열린 2층 브리핑룸에 자리를 잡았다. 이로 인해 145석 규모의 브리핑룸은 지난달 28일 기자회견 때와는 달리 북적거렸으며, 신규 기자들은 브리핑룸이 `자유좌석제'로 운영된 관계로 먼저 온 순서대로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기존 출입기자를 포함해 180여명만 춘추관을 찾아 "많은 기자들이 취재는 뒷전이고, 형식적으로 등록만 해놓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됐다. 특히 일부 신규출입 기자는 이미 여러차례 예고된 노 대통령의 기자회견도 모른채 `가벼운 마음'으로 춘추관을 방문했다가 뒤늦게 분주하게 움직이기도 했으며, 일부 외신 기자는 미처 등록을 하지 않아 발길을 되돌렸다. 이러한 `개방형 등록제'에 맞춰 춘추관은 최근 기존 상주기자실과 회견실을 기사송고실, 브리핑룸 등으로 개조하는 내부공사를 마무리한 데 이어 춘추관내 구내식당 운영시간의 30분 연장, 식당좌석 12석 추가 배치, 음료수 자동판매기 추가설치,비서실 직원 주차장의 기자전용 전환 등 늘어난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다양한 조치를 마련했다. 또 신규 기자들의 출입증 발급과 함께 기존 출입기자들의 출입증도 새것으로 바뀌었고, `출입증 분실' 등을 우려, 춘추관 출입시 종래와 달리 안내데스크에 출입증을 맡기도록 했다. 춘추관은 신규 출입기자들에 대해 `출석체크'를 해 앞으로 3개월간 90% 미만의출석률을 기록한 기자들은 등록을 취소하는 것은 물론 재등록도 불허할 방침이다. (서울=연합뉴스) 김범현기자 kbeomh@yna.co.kr